명의도용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PASS앱(왼쪽)과 카카오뱅크앱에 28일 접속자 폭주로 인한 서비스 지연 공지메시지가 올라와 있다./PASS앱, 카카오뱅크앱 캡쳐
SK텔레콤이 정보 유출사고의 후속 조치로 유심 무료 교체를 시작한 첫날, 신청자가 몰리며 SKT 홈페이지와 앱(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해 본인인증서비스(PASS) 등 연계 서비스까지 먹통이 되는 등 혼란이 커지고 있다.
28일 오후 4시 현재 PASS앱에 접속하면 "KAIT(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제공하는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이용자 급증으로 서비스 제공이 일시 중단되거나 지연이 발생"중 이라며 "안정화 작업을 진행중이며 신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공지문이 뜬다.
PASS앱은 사용자의 명의를 불법 복제해 타인 명의로 휴대폰을 개통하는 등 '심 스와핑'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번 개인정보 유출 사고의 대응책으로 알려져왔다.
그러나 이날 접속자가 몰리며 먹통이 되면서 이용자들의 불만이 쇄도했다.
PASS앱 외에 명의도용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카오뱅크앱 인증 메뉴도 마찬가지로 진행이 불가능한 상태다. 부가 서비스 항목으로 들어가 명의도용방지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나, 현재는 "이용 요청이 평소대비 급증하여 서비스 제공이 원활하지 않습니다"라는 공지 팝업이 떠있는 상태다.
0
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28일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에 유심들이 놓여있다./연합
SK텔레콤은 현재 약 100만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고 다음 달 말까지 약 500만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SKT 가입자(2300만명)와 이 회사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187만명)를 합하면 교체 대상자가 모두 2500만명에 달해 물량 부족에 따른 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