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안보선대 200척까지 확대해야"
해기사 양성·디지털화 등 주요 과제
|
28일 박 회장은 서울 영등포구 해운빌딩에서 열린 해양기자협회 대상 기자간담회에서 "트럼프 정부도 반도체에 이어 해운산업을 미국의 전략산업이자 필수산업으로 부각시키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사실상 섬나라와 마찬가지로, 수출입화물의 의존도가 99.7%다. 반도체 못지 않은 국가전략산업이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박 회장은 올해부터 한국해운협회의 신임 회장을 맡게 됐다. 그는 2007년부터 고려해운 회장직을 이어가고 있으며, 30년 이상 해운업계에 몸 담아온 인물이다.
그는 이날 특히 기존 88척가량인 전략안보선대를 최대 200척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국내 주요 조선사들은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과 대형 선박을 위주로 건조하고 있다. 벌크선, 중소형 유조선 등은 가격 경쟁력을 잃으면서 사실상 중국 조선사에 의존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안보적으로 위험한 시기에 닥쳤을 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선종별로 국내에서 사전에 건조, 준비해야 한단 것이다.
박 회장은 "국내에서 고급선적만 경쟁력이 있고 나머지는 중국에 의존하는 형태가 됐다"며 "현재 국회와 논의하고 있지만, 유사시 전략안보선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선대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해운협회 주요 과제로는 중소선사를 위한 정책금융 확대·해기사 인력 양성·선사들의 디지털 표준화 등을 들었다. 양창호 한국해운협회 상근부회장은 "친환경 규제에 따라 친환경 선박으로 바꾸는 데 필요한 정책금융을 확대하는 데 정부과 꾸준히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 부회장은 또 "지난해 기준으로 해기사는 1만1000명인데, 2034년까지 배가 늘어날 것을 고려해 4000명가량 늘려야 한다"며 "단기양성과정(오션폴리텍) 등을 활성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선박 운항의 데이터화와 관련, 해운협회는 선사들이 함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논의에 나서겠다는 설명이다. 박 회장은 "선박 데이터를 정확하고 효율성 있게 모으려면 쉽지 않은 일"이라며 "같은 항로를 많이 다니는 해운회사별로 플랫폼을 만들거나 데이터를 축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협회 측에서 먼저 업계에 함께 공유를 해보자고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박 회장은 "다행히 협회 측과 해양수산부 등 정부와 원만하게 소통이 되고 있다"며 "문제는 선사들이 그 나라의 수출입 화주들과 좋은 관계를 맺어야 하는데, 결국 관건은 한국 기업이 잘돼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