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SK텔레콤 “개발역량 총동원해 5월 중 문제 해결할 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9010017459

글자크기

닫기

김영진 기자

승인 : 2025. 04. 29. 14:38

유심 무료교체 한계
개발역량 총동원해 해결방법 모색
2025042701002649000161501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25일 서울 을지로 사옥에서 열린 고객보호 조치 강화 설명회에서 사과 인사를 하는 모습./SK텔레콤
SK텔레콤은 해킹 관련 논란과 관련해 개발 역량을 총동원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29일 밝혔다.

SKT는 해커에 의한 악성코드로 유심 관련 일부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침해 사고와 관련 혹시 모를 고객피해를 막기 위해 유심 교체와 동일한 피해예방 효과가 있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유와 함께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28일부터 전면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최근 사이버 침해사태와 관련 고객의 불안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 27일 고객발표문을 통해 유심보호서비스를 통해 유심 불법복제에 의한 고객피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만큼 믿고 가입해달라며 서비스 가입 후 피해가 발생시 SKT가 100% 책임지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SKT 측은 "전문가들에 따르면 유심보호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유심 교체를 할 경우 해킹으로 인한 유심 불법복제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며 "다만 유심보호서비스의 경우 로밍 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유심 무료 교체의 경우 물리적인 재고가 수요에 비해 부족(현재 100만개, 5월 말까지 약 500만 추가수급)하고, 교체 처리시 소요되는 시간 등으로 인해 1일 교체물량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8일 첫날부터 전국 2600여개 T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를 통해 유심 교체를 희망하는 고객들이 긴 줄을 이뤘고 매장마다 유심 재고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SKT는 이 같은 고객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28일부터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통해 근접 매장에 유심 교체를 위한 예약을 받고 있으며 28일 하루 동안 교체 예약자 건수가 382만에 이를 정도로 많은 고객이 신청을 하고 있다. 또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도 처리용량을 크게 늘려 29일에는 1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5월 초까지 1500만명 정도가 서비스에 가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KT는 "유심 재고 부족, 로밍 이용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네트워크인프라센터, MNO사업부, AT/DT센터 등의 개발역량을 총동원해 해결방법을 모색 중으로, 5월 안으로 시스템 개발을 통해 두 문제 모두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해결책 중 하나로 유심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방식(가칭 '유심포맷')을 꼽으며 이를 통해 유심교체를 하지 않고도 교체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전했다. 기존 유심 교체가 하드웨어 적으로 새로운 유심으로 교체하는 방식인데 비해, 현재 개발중인 방식은 고객들이 보유한 기존 유심 정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유심 교체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설명이다.

SKT는 "이 경우 기존 물리적인 교체 대비 앱 재설정 및 데이터 백업 등이 수반되는 고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교체 소요시간도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유심포맷도 매장을 방문해 유심변경과 관련한 시스템 매칭 작업을 거쳐야 하며, 5월 중순까지는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한 SKT는 "유심 교체와 동일한 고객보호 효과를 평가받는 '유심보호서비스' 도 로밍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동시에 해외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 중으로, 5월 중순에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앞으로는 해외여행이나 출장을 계획 중인 고객들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유심보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영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