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지엄한 거부권 기다리고 있어"
|
이들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한 대행의 거부권 도발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조만간 내란연장을 목표로 대통령선거에 나서겠다고 준동하면서 끝까지 정치적 몽니로 나라를 어지럽히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들은 "한 대행이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권한을 제한하는 헌법재판소법 개정안에 대해서 기다렸다는 듯이 거부권을 행사했다"며 "조만간 스스로 잘못된 길에 앞장서 나서려는 한 대행에게 마지막 연민을 담아 충고한다. 대통령과 대통령 권한대행은 명백히 다르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헌재는 앞선 결정에서 탄핵소추 의결 정족수 등을 예시로 둘 사이 민주적 정당성과 권한이 '천양지차'(天壤之差)라는 것을 밝힌 바 있다"며 "대통령 권한대행은 직무범위와 관련해 잠정적인 현상유지에 국한되고 현상유지를 벗어나는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금은 대통령 궐위가 확정돼 오는 6월 4일이면 새로운 대통령 임기가 시작한다"며 "30여 일 남은 권한대행이 다음 대통령 인사권을 가로막고 침범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 대행은 내란수괴 혐의 등으로 파면된 전 대통령에 의해서 임명된 만큼 민주적 정당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며 "더더욱 권한 행사를 자제해야 할 처지"라고 일침했다.
이들은 "한 대행의 거부권은 법적 근거가 없는 불법적 권한행사와 대통령 파면에 대한 책임감은 전혀 없는 무책임한 권한행사로 기억할 것"이라며 "국민의 지엄한 거부권이 한 대행을 기다리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