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 고효율 포집기술로 탄소중립 실현
|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은 발전소 배출가스 중 이산화탄소 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해 제거하는 기술로, 탄소중립 달성에 필수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석탄화력발전의 LNG 전환이 추진되면서 이 기술의 적용 범위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전은 포집 효율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LNG 발전 맞춤형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개발했다.
이번 설비는 연간 약 3000톤의 이산화탄소를 90% 이상 효율로 포집할 수 있는 규모로 구축됐으며,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 아래 한전이 주관하고 5개 발전사 및 대학·기업이 공동 참여했다. 한전은 LNG 발전 포집용 흡수제 개발과 공정 설계를 수행했으며, 한국전력기술은 포집 플랜트 기본설계,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은 EPC(설계·조달·시공)를 담당했다.
이번 사업의 목표는 1㎿급 파일럿 설비를 복합화력과 연계해 포집 효율 90%, 순도 99.9% 이상의 이산화탄소 포집을 연속 1000시간 이상 달성하는 것이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연간 약 50만톤 이산화탄소 포집이 가능한 상용 플랜트의 기본설계 또한 확보할 예정이다.
문일주 한전 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실증설비는 가스발전 온실가스 저감의 핵심 인프라로, 2050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한전이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