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김문수 “과학기술부총리 신설…R&D 직군 연봉 美연구재단 80%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01010000219

글자크기

닫기

한대의 기자 | 권해준 기자

승인 : 2025. 05. 01. 10:54

과학기술 정책 발표…"기존 과학기술기본법 개정"
"과학기술인 처우 개선…연구원 정년 65세로 회복"
김문수-한동훈-22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달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출을 위한 3차 경선 진출자 발표에서 승리와 화합을 위한 메세지를 발표하고 있다. /이병화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는 1일 과학기술부총리를 신설하고 연구개발(R&D) 직군의 처우를 개선하는 등 과학기술 분야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정책발표회를 열고 "기술 패권 시대에서 초격차 혁신 강국을 실현하겠다"며 이같은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가 이날 내세운 3대 정책은 △과학기술부총리·과학특임대사 신설 및 과학기술기본법 개정 △과학기술인 처우 개선 및 위상 강화 △세계적 수준의 연구 중심 허브 육성 및 연구 몰입 환경 조성 등이다.

김 후보는 "기존의 과학기술기본법을 개정하겠다"며 "과학기술 연구개발과 관련한 예산과 조직을 통할하는 과학기술부총리를 신설하고 세계 과학계와 협력하는 과학특임대사직도 새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또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원의 정년을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전 수준인 65세로 회복하고, 프로젝트 기반의 급여체계(PBS)를 폐지 또는 전면 개선하겠다"며 "연구개발 직군 연봉 표준은 미국 국립연구재단(NSF)의 80% 수준까지 대폭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 자체를 넘어 연구자와 성과 정보까지 관리하는 범부처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성실한 실패'에 따른 연구 성과 인증제도도 도입해 도전적인 연구를 장려할 것"이라며 "연구과제 제안 시점부터 성과 평가까지 과학기술인 맞춤형으로 간소화해 오로지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연구자의 성과 정보를 관리하는 범부처 통합 시스템을 통해 연구 성과 인증제를 도입, 성실한 실패도 성과로 인증하겠다"며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해외 연구기관과 인력 유치를 위한 '5대 첨단기술 국제공동연구센터'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3대 정책목표를 반드시 달성해 과학기술인이 신나게 연구하고, 사회적으로 존중받는 위대한 대한민국을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대의 기자
권해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