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올 대졸생도 실업대군 전락 위기, 中 현실 암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01010000608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5. 01. 18:15

中 경제 미중 관세전쟁에 설상가상
이 와중 올 6월 대졸자들 1222만 명
취업난 가중, 무 월급도 감수 분위기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중국의 올해 대학 졸업생들이 좀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미중 관세 및 무역전쟁이 미칠 악영향으로 인해 최근 규모를 계속 키워가는 실업대군에 휩쓸려 들어갈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상황이 갑작스레 호전되지 못할 경우 사상 유례 없는 최악의 취업 한파에 고전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clip20250501181149
올해 대졸생들이 직면한 현실을 잘 말해주는 한 매체의 만평. 당장 월급을 주지 않는 자리에 취업하겠다는 취업 희망자들이 부지기수라는 현실을 잘 말해주고 있다./신징바오.
신징바오(新京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올해 6월 중순을 전후해 대학 문을 나설 전국의 대졸생들은 1222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지난해보다 43만 명 늘어났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 이후 거의 뉴노멀(새로운 표준)이 된 경기 부진을 감안할 경우 적은 수는 아니라고 해야 한다.

더구나 4월 들어 본격화한 미중 관세 및 무역전쟁이 미칠 악영향을 감안할 경우 상황은 설상가상이 됐다고 단언해도 괜찮다. 현장의 분위기를 살펴봐도 잘 알 수 있다. 우선 전국 대학가의 분위기가 상당히 침울하기만 하다.

심지어 벌써부터 적극적으로 취업 전선에 나서야 할 일부 졸업 예정자들은 아예 절망적인 입장까지 피력하고 있다. 런민(人民)대학 경제학과의 쩌우(鄒) 모씨가 "작년만 하더라도 나 정도의 스펙이면 취업 걱정은 크게 하지 않았다. 하지만 올해는 다른 것 같다.인공지능(AI)을 비롯한 이른바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분야 학과 졸업생들을 제외할 경우 모두 기가 죽어 있다"면서 자신이 빠른 시일 내에 원하는 곳에 취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피력하는 것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취업 희망자들이 선호하는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들이 밀집해 있는 베이징 하이뎬(海淀)구 중관춘(中關村)과 상하이(上海) 푸둥(浦東)신구 일대의 분위기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꼭 필요한 필수 인력 이외의 인재들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쉽게 말해 꼭 필요한 인재들은 이미 입도선매해 채용을 마무리했다는 얘기가 될 것 같다. 두 지역 모두에서 취업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는 청년들의 모습이 별로 보이지 않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 아닌가 보인다.

경제지를 비롯한 매체들이 내놓은 올해 취업률 전망치를 살펴봐도 상황은 상당히 심각한 양상인 것으로 보인다. 50%를 절대로 넘지 않을 것이라고 비관적으로 관측하고 있다. 2022년과 지난해 각각 50.4%와 57.4%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한참 차이가 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어떻게든 취업만 하면 된다는 절박한 심정의 취업 희망자들은 월급 1000 위안(元·19만7000 원)도 감지덕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마디로 일만 하게 해달라는 애원을 하고 있다고 봐도 좋다. 월급 0 위안을 의미하는 이른바 링궁쯔(零工資)라는 용어가 다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회자되는 것은 다 까닭이 있지 않나 싶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