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정부 "한수원과 7일 본계약 진행"
2009년 UAE 바라카 원전 이후 쾌거
해외 경쟁력 재확인, 유럽진출 기대
|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약 26조원 규모의 체코 두코바니 원전 신규 건설 사업자로 최종 선정되며, 유럽 원전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번 수주는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16년 만에 이루어진 쾌거로, 한국 원전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체코 정부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각료회의에서 두코바니 원전 신규 건설 예산안을 승인하고, 오는 7일 한수원과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한수원과 체코전력공사(CEZ) 산하 두코바니Ⅱ 원자력발전사(EDUⅡ)는 체코 프라하에서 양국 정부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최종 계약에 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이 확정되면 한수원은 현재 4기의 원전이 가동 중인 체코 두코바니 원전 단지에 5·6호기를 신설하게 된다. 또 체코 정부가 향후 테멜린 단지 내 원전 3·4호기 건설을 결정할 경우, 한수원이 해당 사업의 우선협상권을 갖게 될 전망이다.
이번 원전 사업은 체코에 단순한 발전소 건설을 넘어 국가 에너지 안보의 핵심 사안이다. 체코는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와 자국 화력발전 비중을 줄이고, 현재 40.7%인 원자력 발전 비중을 2050년까지 50%로 확대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두코바니 원전 증설은 이러한 에너지 전환 정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7월 한수원이 체코 정부의 2기 원전 건설 입찰에서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후, 당초 올해 3월까지 본계약을 체결할 계획이었지만, 지난해 12월 한국 내 정치적 상황 변화와 함께 체코 총선이라는 정치 일정이 맞물리면서 계약 체결이 지연됐다.
체코 정부의 이번 결정은 오는 10월 총선을 앞둔 시점에 이뤄져 주목된다. 체코 정치권 내부에서는 총선 전에 원전 계약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고, 더 이상 미룰 경우 국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체코 정부가 한국 대선(6월 3일)과 체코 총선 전에 계약을 마무리하기로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산업계에서는 체코 수주를 기점으로 폴란드, 불가리아, 루마니아, 튀르키예, 영국 등 원전 도입을 검토 중인 유럽 국가들로의 진출 가능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에너지 안보 강화와 탄소중립 정책 추진으로 원자력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한국형 원전의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체코 원전 수주를 기점으로 K-원전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단단히 구축할 수 있게 됐다"며 "이번 계약은 한국 원전 산업의 세계 시장 진출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