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동서울변전소 갈등 해소 ‘난항’…내년 완공 무산 위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11010004294

글자크기

닫기

이세미 기자

승인 : 2025. 05. 11. 16:49

경북 등 마을 79곳, 합의 100%
갈등 장기화에 연간 3000억원
“국가 전력망 확충 차질…국민만 피해”
2025040701010005863
동서울변전소 전경./한국전력
한국전력과 하남시의 동서울변전소 설립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면서 내년 완공이 무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전은 동해안-동서울 초고압 직류 송전망(HVDC) 구간의 마을과 합의를 마치고 하남시의 인허가만 남았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하남시는 여전히 지역 주민들의 동의를 구하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다.

11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최근 동해안-동서울 HVDC 송전선로가 통과하는 경북·강원·경기의 마을 79곳과 주민 합의를 100% 완료했다.

해당 사업은 동해안 울진에서 경기 하남까지 280㎞, 철탑 436기에 이르는 국내 최장·최대 규모의 HVDC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수도권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 꼽힌다.

그동안 일부 지자체와 주민 반대로 전력 설비 건설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동해안-동서울 HVDC 송전선로가 지나가는 마을 주민과 지자체가 합의하면서 한시름 놓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들은 동해안에서 생산된 전기의 수혜지가 아님에도 국익을 고려해 대승적으로 협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국가 기간망 구축 사업이 지방정부인 하남시에 의해 제동이 걸렸다는 점이다. 하남시는 한전에 지역 주민 동의를 받아오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남시는 해당 부지가 주거지와 가깝고 향후 개발 예정지와도 겹쳐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며, 2023년 건축 허가를 불허했다.

최근 김동철 한전 사장과 이현재 하남시장이 직접 만나 협상을 시도했지만, 양측의 입장 차이는 좁혀지지 못했다. 현재 한전은 지난 4월 김호기 HVDC 건설본부장을 필두로 하남시청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한전의 목표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해당 갈등이 단기간 내 해결이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한전은 약 7000억원을 투입해 2026년 6월까지 하남시 감일동 일원 동서울변전소 부지 내 옥내화 공간에 HVDC 변환소를 증설한다는 계획을 세웠던 터다.

동서울변전소 증설이 이뤄지지 않으면 280㎞에 달하는 송전선로를 모두 건설하고도 마지막에 전기를 받아줄 변전소가 없는 상황이 된다.

실제 이 사업이 늦어지면서 동해안 지역에서 발전한 전기를 적기에 수도권으로 송전하지 못하고 있다. 한전에 따르면 이로 인한 전력 추가 구입 비용은 연간 3000억원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국가 전력망 확충에도 차질이 빚어질수 있다며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전력업계 한 관계자는 "공사가 지연되면 국민 피해가 늘어난다"며 "하남시와 한전이 상호 양보를 통해 주민 수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철 사장은 "국가 전력망 확충을 가로막아 대한민국 전체의 손실을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 주민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며, 한전도 사업이 적기에 완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세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