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코스피 5000’ 재강조한 민주당…실무자들 “장기투자 위한 세제혜택 필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29010015481

글자크기

닫기

김동민 기자

승인 : 2025. 05. 29. 15:47

"거버넌스 개혁, 금융소비자 보호 정책 등 공약에 반영"
"매매 자체 유동성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
"대통령 직속 특별위원회 설치 필요…신뢰 얻을 것"
KakaoTalk_20250529_152158923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금융·자본시장위원회 위원장과 오기형 코스피5000시대위원회 위원장이 29일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자본시장 활성화 및 신뢰회복'주제로 열린 정책 간담회에 참석해 증권·운용업계 실무자들과 토론하고 있다. /김동민 기자
코스피 5000 시대를 약속한 더불어민주당이 금융투자업계 실무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다시 한 번 금용소비자 보호, 지배주주 사익편취 행위 근절 등의 공약 이행을 강조했다. 향후 이 같은 정책들이 구체화되면, 자본시장 질적 성장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증권·자산운용 업계 실무자들은 장기투자를 독려할 수 있는 세제혜택과 자본시장 활성화 방안을 공유할 수 있는 대통령 직속 컨트롤타워 신설 등이 필요하다고 목소리 높였다. 이외에도 주식 매매에 대한 유동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과 동시에 정책 일관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금융·자본시장위원회 위원장은 29일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자본시장 활성화 및 신뢰회복'주제로 열린 간담회에서 금용소비자 보호, 지배주주 사익편취 행위 근절 등의 정책들을 공약으로 담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는 오기형 코스피5000시대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증권·자산운용사 실무자 8명이 함께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김 위원장은 "코스피 5000 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다양한 시세 조정 방지책과 거버넌스 개혁, 금융소비자 보호 정책 등을 이번 공약에 반영했으며, 이를 통해 우리 자본시장에도 질적 성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오기형 코스피5000시대위원회 위원장은 "우리 자본시장이 통상적인 선진국만큼 진화되고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이 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3배까지 오르면, 코스피 5000 지수는 현실적으로 고민해볼 수 있는 목표치"라고 설명했다.

실무자들 사이에선 공약과 별개로 외국인 자금이 덜 빠지게 하는 정책에 집중하기보다는 매매 자체에 대한 유동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상윤 한국투자증권 여의도 금융센터 차장은 "기존에 투자했던 자금들에 대한 엑시트가 자유로워야 새로운 자금 유입이 될 수 있다"며 "대주주 혹은 외국인들로부터 유동성 때문에 종목을 매도할 때 제한적인 게 많다는 얘기들을 듣고 있고, 이런 측면에서 많이 팔든 많이 사든 유동성을 높여주는 방안들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정책에 대한 일관성이 없어 투자자들의 불신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주환 NH투자증권 프리미엄 블루 삼성동 2센터 대리는 "국민연금이 어떤 날은 국내 주식을 매수하는 것 같다가도, 또 어떤 날은 전혀 반대 시그널을 나타내면서 정책 메시지에 대한 일관성을 떨어뜨린다"며 "이러한 예측 불가능한 사례들로 인해 신뢰가 떨어지고 있고, 단순히 주가 상승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명확한 신뢰를 주는 게 보다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해 투자자들의 장기투자를 독려할 수 있는 세제 혜택들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영훈 신영자산운용 배당가치본부 팀장은 "젊은 층들을 중심으로 배당을 통해 장기적 소득을 마련하고자 하는 니즈들이 늘고 있지만, 높은 세율로 인해 이 같은 의지들이 꺾고 있다"며 "정책적인 부분에서 긍정적인 검토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양승우 하나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개인들의 경우 대부분 단기 차익 목적으로 매매를 하다 보니까 시장 변동성을 크게 불러일으키고, 이를 완화하려면 장기 보유 비중이 높은 증시 버팀목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관들의 역할이 더 커져야 된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주식형 펀드 가입에 대한 과감한 세제 혜택이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영수 VIP자산운용 부사장은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가 있더라도 소관이 다르다보니 일이 진행이 되지 않는다"며 "대통령 직속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특별히 관심을 기울여준다면 투자자들도 큰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고 언급했다.

끝으로 김 위원장은 "금융기관에도 일부 책임이 있다"며 "투자자가 맡긴 자산을 잘 운용해 수익을 잘 내줘야하는 데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고, 수익을 내지 못했을 때 투자자들한테 설명을 잘 하고 양해를 구하는 등의 의무들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부분도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투자자 문화를 공감하고 설명의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는 등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얻어 나가는 그런 모습도 상당히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동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