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기관장 평균 1230만원인데
남칠우 사장은 548만원 더 많아
대구경실련 “상세 내역 공개해야”
|
1일 알이비파트너스에 따르면 남 사장 선임 직후인 2021년 당시 회사는 매출 97억원, 영업이익 9억원, 순이익 7억원을 기록했다. 이후 부동산 침체기에 영향을 받으며 2024년엔 매출 127억원, 영업이익 5억원, 순이익 5억원으로 줄었다.
유관기관 업무협의 및 간담회에 사용해 온 기관장 업무추진비는 791만원(2022년)에서 1778만원(2024년)으로 987만원 올랐다. 같은 기간 동안 월 평균 추진비는 약 66만원에서 148만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남 사장이 취임하기 전인 2021년 알이비파트너스 기관장 업무추진비는 1~5월만 공개됐고 이를 평균으로 환산할 경우 월 14만원 수준이다.<표 참조>
이는 통상적인 기관장 업무추진비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업무추진비 집행내역을 공개한 공공기관 341곳의 지난해 기관장 평균 업무추진비는 1230만원이다. 남 사장의 업무추진비는 이보다 548만원 더 많은 셈이다.
손태락 한국부동산원 원장이 2021년 취임 후 수익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부동산 침체기가 본격화되자 기관장 업무추진비를 967만원(2022년)에서 614만원(2024년)으로 줄인 것과도 정반대의 결과다. 손 원장의 월 평균 업무추진비는 약 81만원(2022년)에서 약 51만원(2024년)으로 30만원 줄였다.
알이비파트너스는 아시아투데이가 문의한 남 사장의 기관장 업무추진비 증가 이유에 대해 답변하지 않았다.
일각에선 부동산 침체기 직후엔 기관장 업무추진비를 줄이는 노력을 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건설업계뿐만 아니라 손 원장도 비용 절감에 총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남 사장은 알이비파트너스를 맡기 전부터 조직 안팎에선 여러 말들이 오가기도 했었다. 알이비파트너스 사장에 도전할 당시에도 초빙 기준인 '부동산 조사·관리 및 건물 위생·경비·시설관리 등 관련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인사'에 부합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2022년 당시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이 부동산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드러났다. 알이비파트너스가 토지 수용 때 보상 관련 기초 조사 등을 주요 업무로 하는 만큼, 부동산 관련 전문 지식이나 경영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남 사장은 같은 해 12월 사장에 취임했고, 이 때문에 현재까지도 '낙하산' 인사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다.
물론 기관마다 업무 내용이 다르고, 내부 규정에 맞춰 업무추진비를 책정한다. 이에 업무추진비를 기관별로 판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업무추진비 상세 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상태에서 무작정 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봤다.
송덕성 극동경제연구소 소장은 "총사용액을 생각하면 크지 않지만, 상황을 봐가며 업무추진비를 책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공기업은 비밀 유출을 이유로 과거부터 누가, 어디서, 얼마를, 어떤 이유로 쓰는지 상세하게 공개하지 않았다"며 "사기업과 달리 시민의 돈을 사용하는 공기업·공공기관의 경우 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구 현지 시민단체에서도 투명하지 않은 기관장 업무 추진비 공개 실태에 대해 비판한 바 있다. 앞서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구경실련)은 대구시 산하 지방공기업, 출자·출연기관 기관장 업무추진비 사용 내용 공표 현황의 경우 일부 기업만 관련 내용을 공개하고, 일부는 월별로 총액만 공개한다고 지적했다.
과거엔 공기업, 공공기관 업무추진비의 사용 기준이 모호하거나 상세 내역을 공개하지 않아 기관장의 개인 비자금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 1998년 시행됐다. 다만 법 위반 시 벌칙 규정이 따로 없어 처벌받진 않는다.
대구경실련 관계자는 "자체적인 예산 편성 기준에 따라 업무추진비가 정해지겠지만, 규정에 의해 사용용도, 사용처 등을 공개하지 않으면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위반이 될 수 있다"며 "민감한 정보라도 사후에라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