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자율 야구’ 이광환 전 감독, 향년 77세로 별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2010001615

글자크기

닫기

정재호 기자

승인 : 2025. 07. 02. 18:26

폐렴 증세로 입원 치료 중 숨져
1994년 LG 우승 이끌며 전성기
20250702002305_PCM20191006000183505_P4
이광환 전 감독. /서울대
'자율 야구'의 대명사로 통했던 이광환 한국야구위원회(KBO) 원로 자문이 별세했다.

야구계에 따르면 지병인 폐 질환을 치유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지내던 이 전 감독은 최근 폐렴 증세로 병원에 입원 치료를 받던 중 2일 오후 3시 13분쯤 향년 77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 전 감독은 자율 야구를 내세워 1994년 프로야구 LG 트윈스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끈 지도자로 유명하다. 중앙고와 고려대 출신인 이광환 전 감독은 한일은행과 육군 경리단에서 선수로 뛰었고 1977년 모교인 중앙고 감독으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어 1982년 프로 출범과 함께 OB 베어스 타격 코치를 맡았고 1989년 OB, 1992년 LG 사령탑에 올랐다. 1994년에는 LG의 정규시즌과 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을 견인했다. 이 전 감독 아래 LG는 신바람 야구로 전성기를 구가했다.

이후 한화 이글스, 우리 히어로즈(현 키움 히어로즈) 등 프로팀을 지휘하며 프로 통산 608승을 거뒀다. 2010년부터 10년간 순수 생활 체육 학생들로 구성된 서울대 야구부 선수들을 가르치기도 했다. 아울러 KBO 육성위원장을 지내면서 국내 야구 저변 확대에 노력을 기울였고 2010년부터 2015년까지 KBO 베이스볼 아카데미 원장을 맡아 지도자 양성에도 일조했다.

일본프로야구 세이부 라이온스, 미국프로야구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연수하며 지도자로 선진 야구를 접한 고인은 한국으로 돌아와 강압이 아닌 선수들이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연구하고 훈련으로 메워 성장하는 '자율 야구'를 도입해 주목을 받았다. 또 한국프로야구 최초의 투수 분업화 체계인 '스타 시스템'을 적용하는 등 선진적인 팀 운영으로 척박한 KBO리그 문화에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다.

경기장을 떠나서도 업적을 쌓았다. 이 전 감독은 1995년 제주도 서귀포시에 사재를 털어 야구 박물관을 건립했고 야구 관련 소장품 3천여 점을 모두 기증하는 등 야구인으로서 일생을 헌신했다. 올해 3월 KBO리그 LG의 개막전에서 시구를 한 것이 공식 석상에서 고인의 마지막 모습으로 남았다. 고인의 빈소는 제주 부민장례식장 6분향소에 마련됐고 발인은 4일 오전 9시다.

정재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