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산 콩, 수입산보다 효능 월등”… 소비촉진 나선 농식품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3010001564

글자크기

닫기

세종 정영록 기자

승인 : 2025. 07. 02. 17:43

하반기 예산 20억 들여 소비확대 추진
대원, 사포닌 1.2배 ↑·소만 '항암 효과'
교육·컨설팅 등 전략작물 산업화 지원
콩 자급률 2027년께 43.5% 달성 목표
농림축산식품부가 항산화 등 효능을 가진 우리 콩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다각적인 홍보에 나서고 있다.

2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국산 콩에 대한 국민 관심도 제고 및 소비 확대 등을 위한 '콩 소비촉진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사업시행 주체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로 투입 예산은 약 20억원 규모다.

콩은 과거부터 쌀·보리·조·기장 등과 함께 5곡으로 분류돼 식물성 단백질 및 지방 공급원으로 널리 사용돼 왔다. 질병 예방 및 건강 유지에 유효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최근 서양에서도 대두식품 소비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산 콩은 수입산 대비 유효성분 및 건강 기능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부나 메주 등을 만드는 데 활용되는 노란콩 품종인 '대원'은 항산화, 항암, 콜레스테롤 및 혈압 조절 등 효과가 있는 이소플라본이 수입산 대비 1.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마찬가지로 항암, 콜레스테롤 저하, 심혈관 개선 등 효과가 있는 사포닌은 1.2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농촌진흥청은 국산 콩에 함유된 건강기능 성분에 주목, 항산화 물질 안토시아닌이 기존 재래콩 대비 2.8배 많은 검정콩 품종 '소만'을 개발했다. 기능성 품종 개발로 농가 소득 향상 및 신(新)수요 창출 등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이다.

농진청 연구 결과 소만 추출물을 뇌종양, 유방암, 피부암 등 3종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무처리 대비 세포수가 최대 5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기영 농진청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개발과장은 "건강기능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신품종이 개발되면 대체식, 환자식 등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며 "국산 콩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관련 산업 규모를 확장해 시장성을 확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농진청은 올해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을 통해 소만 보급종 2톤(t)을 생산하고 내년부터 정식 보급에 나설 계획이다. 농산업체 및 의료·건강 기능식품업체 등과 협력해 산업화를 지원하고, 추가 신품종 개발도 추진한다.

관련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서진형 밭작물개발과 농업연구사는 "국산 콩은 수입산 대비 건강성분 함량이 높아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며 "현재 단백질 함량이 높은 노란콩 품종 '대단'을 개발 중인데 이 같은 기능성 품종이 가공화를 거치면 프리미엄 시장을 개척할 수도 있다. 결국 우리 콩 산업 자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국내 콩 산업 성장을 위해 '국산 두류 제품화 패키지 지원사업'도 진행 중이다. 사업에 참여하는 식품업체들과 협업해 '대체단백질식품' 개발 등을 추진, 새로운 수요 창출을 위한 시장 확보에 나서고 있다.

국산 콩 소비는 소비자 입장에서 건강한 식생활을 지키는 동시에 우리 콩 산업 기반 및 식량안보를 강화하는 길이기도 하다.

농식품부에 의하면 양곡연도 2023년 기준 국내 콩 자급률은 35.7%로 목표치 34.7%를 1% 포인트(p) 초과 달성했다. 지난 2021~2022년 목표치를 밑돌았던 것과 비교하면 성장세가 눈에 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양곡연도 2024년 기준 자급률도 목표치를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며 "장기적으로는 2027년 43.5%를 달성하는 것이 정책 목표"라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국산 콩 생산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도 추진하고 있다. 콩 농가 규모화를 위해 '전략작물산업화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교육·컨설팅 △시설·장비 △사업다각화 등을 지원 중이다.

재배유인 확보를 위해 논에 콩을 재배할 경우 '전략작물직불금'도 1㏊당 최대 200만원 지급한다. 이는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에 있는 쌀 산업의 정상화와 콩 자급률 향상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한 목적이다.

아울러 지난해 11월 출범한 논콩임의자조금(사단법인 한국논콩자조회)의 의무자조금 전환을 위한 민관 협의도 진행하고 있다. 자조금 제도는 수급관리 주체를 정부 중심에서 생산자로 전환해 산업 경쟁력 및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이 핵심이다. 농가 측에서 수급안정·소비촉진·품질향상 등을 주체적으로 추진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국산 콩 소비를 통해 우수한 효능을 경험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갖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우리 콩이 경쟁력을 갖고 시장에서 선택받을 수 있게 다각적인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정영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