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소통이 문제해결 중심" 대통령 발언 공감
"정은경 후보 조속 임명으로 대화 장 열리길"
|
김택우 의협 회장은 3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복지부 장관 후보자 지명과 차관 임명 등으로 "의료계와 정부의 정상적인 소통 창구가 열리게 된 점을 의미 있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이날 이 대통령의 기자회견과 관련해 "대통령께서는 결국 신뢰와 소통이 문제 해결의 중심임을 이야기하셨고 학생과 전공의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을 정부에서 마련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하셨다"면서 "대통령께서 이 문제에 대해 협회와 같은 인식을 갖고 있으며 해법 또한 다르지 않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현재 의료현장은 땜질식 처방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중증·응급진료와 공중보건의 제도 위기 등을 언급한 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미래의 의사, 전문의들을 양성하는 과정이 우선 정상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대생들이 돌아와 다시 공부할 수 있도록 의학교육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한 학년에 2개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는 각 대학의 부담은 크겠지만, 학생들이 학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에서는 어려운 결단을 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또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데 전문가들의 경험과 지식을 적극 반영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며 지역의료 격차 해소, 공공의료 문제, 저출생·고령화 등에 있어 "효과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정부와 대승적 협력과 대화를 이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빠른 사태 해결과 신뢰를 강조한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의 조속한 임명 결정을 통해 의료사태 해결을 위한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날 이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의정갈등 해소 방안에 대한 질문에 "제일 자신 없는 분야가 바로 의정갈등"이였다고 답한 데 대해서는 '진솔한 표현'이었다고 평가했다.
김 회장은 "대통령이 어려운 부분이 의정갈등이라고 진솔한 말씀을 주시면서 솔직하게 마음을 열어주신 것 같다"며 "의료사태 문제는 실타래처럼 얽힌 게 많다. 의료계 문제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의협과 함께 풀어나가면 조속히 풀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의협은 이 대통령의 말씀을 진심으로 받아들였고, 저희도 국민 건강과 의료시스템 재건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의 화답을 드리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성근 대변인 역시 이 대통령이 의정 사태에 대해 "전 정부의 억지스러운 정책"과 "일방적 강행" 등을 언급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김 대변인은 "대통령이 지난 정부가 잘못한 걸 잠깐이나마 언급했는데, 이게 정부가 가진 인식이라고 본다"며 "복지부 장관이 임명되면 충분한 소통을 통해 의정 간 의견 차이를 좁힐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