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유럽, 전시경제 돌입… ‘K-방산’ 유럽 핵심 파트너로 뜰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4001207555

글자크기

닫기

구필현 국방전문기자

승인 : 2025. 07. 04. 12:08

"국방비 5% 증액하며 무기 생산 속도전… 한국이 가장 빠르다"
폴란드 이어 체코·루마니아도 러브콜… 'K-방산' 유럽시장 중심으로
0703 Leopard 2A8 MBT
독일 레오파드 전차 (Leopard 2A8 Main Battle Tank)가 노르웨이 수출 시장을 겨냥하여 오슬로에서 전시되어 있는 모습, 2024.11.13 사진=글로벌 디펜스 뉴스
러시아의 침공에 맞선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자, 유럽이 '전시경제(war economy)'에 본격 돌입하고 있다.

독일, 폴란드, 체코 등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은 방위산업 기반을 전면 재편하며 국방비를 일제히 증액하고 있다.

각국의 증가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5%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 방위산업(K-방산)**이 '전략적 파트너'로 유럽에서 주목받고 있다.

빠른 납기와 신뢰성, 기술이전 유연성 등을 무기로 유럽의 '긴급 수요'를 채워줄 유일한 대안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 "3년 내 1,000대 전차 필요한데… 한국만 가능했다"

폴란드는 지난해 K2 전차,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 등 30조원 규모의 한국산 무기 패키지 계약을 체결했다.

단순 구매가 아니라, 향후 현지 생산과 기술이전을 전제로 한 '전략적 무기 협력'이다.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전 폴란드 국방장관은 당시 "우리는 3년 안에 1,000대의 전차를 확보해야 했다"며 "이 조건을 만족시킨 국가는 한국뿐이었다"고 밝혔다.

실제 독일의 대표 방산기업 라인메탈은 주력 전차 '레오파르트2'를 연간 50대 생산하는 데 그친다.

프랑스, 이탈리아 역시 자체 생산라인을 확대하고 있으나 납기와 가격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 "기술도 기술이지만, 한국은 파트너로 믿을 수 있다"

K-방산이 유럽에서 주목받는 배경에는 기술력 외에도 '공정한 파트너십' 정신이 있다.

미국과 프랑스 등 전통적 방산 강국이 기술 이전에 소극적인 반면, 한국은 현지 생산과 부품 공동개발, 산업 생태계 구축까지 지원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 EU 국방 관계자는 "한국은 무기뿐 아니라 동맹국의 자립을 돕는 접근법을 취한다"며 "실용적이고 유연한 파트너"라고 평가했다.

독일·프랑스도 국방비 대폭 증액… EU 공동기금도 가동

독일은 내년 국방비를 6.5% 증액해 GDP 대비 2.1% 수준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며, 프랑스와 이탈리아 역시 5% 가까운 증액을 추진 중이다. 폴란드는 이미 GDP의 4.3%를 국방예산으로 책정해 유럽 내 최상위권이다.

clip20250703141119
나토 (NATO, 북대서양 조약기구) 주요 회원국의 국방예산 증가율 통계, SIPRI 및 IISS 보고서 (2023-2024년도 국방비 통계) 및 NATO 공식 발표 및 헤이그 정상회의 관련 보도 요약
유럽연합(EU)도 공동방산기금 'EDIRPA'와 'EDIP'를 통해 무기 공동개발·공동조달을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은 비(非)EU 국가 중 일본, 캐나다, 호주와 함께 전략적 협력국 후보로 거론되고 있으며, EU 방산프로젝트에 참여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 KAI·한화·현대로템 등, 유럽 현지 진출 박차

한국 방산업체들도 유럽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FA-50 경공격기를 앞세워 루마니아·슬로바키아 등 동유럽 국가들과 협상을 진행 중이며, 현대로템은 폴란드 내 K2 전차 현지 생산 라인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영국·폴란드 중심의 K9 글로벌 생산 체계 확대, LIG넥스원과 한화시스템은 유럽형 방공망·AI 기반 C4I 개발 협력에 나섰다.

0703 K-2 GF
지난 2일 폴란드와 2차계약이 체결된 현대로템의 K-2 GF 전차가 폴란드 국기와 함께 선적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현대로템 사진 제공
△"K-방산은 이제 단순 수출업체가 아니다"

전문가들은 유럽의 '전시경제 체제'가 향후 10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단순 무기 수입을 넘어 공동개발, 현지생산, 유럽 방위산업망 통합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K-방산이 공급자에서 '전략 파트너'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분석이다.

문제는 EU 규제 장벽과 NATO 기준에 맞춘 무기체계 표준화, 그리고 러시아를 자극하지 않는 외교적 균형감각 등이다.

한국 방산업계 관계자는 "유럽은 속도와 실용을 원하고, 우리는 해낼 수 있다"며 "이제 K-방산은 선택이 아니라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구필현 국방전문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