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농식품부, 콩 비축·후계농 지원 등 2934억 추경… “신속 집행 만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4010002909

글자크기

닫기

세종 정영록 기자

승인 : 2025. 07. 04. 23:07

4일 국회 본회의서 2차 추경안 의결
정부안 1862억에 1072억 추가 반영
농식품 등 수출 지원 예산 45억 규모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추가경정예산(추경)이 최종 2934억 원 규모로 반영됐다.

4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제2회 추경안'이 의결됐다.

당초 농식품부는 수리시설 개보수, 농촌용수개발, 축사시설현대화(융자), 식품외식종합자금(융자) 등을 지원하기 위해 1862억 원을 정부안에 반영한 바 있다. 여기에 △콩 수매·비축 △후계농육성자금 △농식품글로벌육성지원자금(융자) △농산업수출활성화 등 예산이 추가로 1072억 원 반영됐다.

먼저 국산 콩 수급관리에 필요한 수매·비축 예산은 1021억 원 확보됐다. 농식품부는 2만톤(t) 규모 콩을 올해 안에 추가 수매해 정부 비축 물량을 확보하고, 향후 가격안정 및 가공수요 확대 등에 대응할 계획이다.

또한 후계농·청년농을 육성하기 위한 후계농육성자금 이차보전 몫이 6억 원 배정됐다. 융자 규모는 3000억 원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약 1500명 내외 신규 후계농에게 추가로 자금 지원을 할 수 있게 됐다. 청년농 영농 정착 부담을 덜고, 농업 경영을 위한 시설투자·농기계 구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농식품 등 수출 지원 예산도 45억 원 규모로 반영됐다. 중소 수출업체 경영 안정과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식품글로벌육성자금(융자) 40억 원, 농산업수출활성화 사업 5억 원 등 예산이 각각 신규 확보됐다.

농식품부는 중소 농식품 수출업체를 중심으로 필요한 운영자금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스마트팜·농기자재 등 농산업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인허가 취득, 마케팅, 보험·보증 등 지원도 기업당 최대 5000만 원까지 제공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추경에 반영된 예산이 콩 수급 안정, 청년농의 안정적 영농 정착, 농식품과 연관산업 수출 활력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신속 집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정영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