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과 이정문 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 김정재 국민의힘 정책위의장과 김은혜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만났다.
이 수석부의장은 이날 회동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 추산으로 200여 건, 국민의힘 추산으로도 한 110여건 되는 공통 공약을 양당 간 교환해 추리는 작업을 먼저 하기로 했다"며 "공통 공약은 정치적인 것보다는 경제나 민생 회복과 관련된 부분을 여야가 동의하는 내에서 우선적으로 펼치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양당의 정책위 내에서 공통 공약을 포함한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를 실무 차원에서 먼저 이룰 것"이라며 "7월 임시국회에 처리하는 법안과 관련해 양당의 정책위 의장 선에서 해결되지 않는 부분은 원내 지도부 간의 협상을 통해 잘 조율하고 의견 수렴하는 과정이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앞서 모두발언에서 김 정책위의장은 "진 정책위의장이 대선에서 양당의 공통으로 낸 공약을 우선 입법 추진하자고 했고 민생 공통 공약 추진 협의회 재가동을 제안했다"며 "민생 앞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는 것으로 응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민주당은 집권 여당이면서도 국회에서는 거대 야당이다. 의석수를 내세운 일방적인 입법 방해를 야당인 저희도 우려하고 국민들도 시간 지나면 불편해할 것"이라며 "야당과 함께 의견을 조율하고 논의하는 정치적 배려를 해주셨으면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노란봉투법, 농업4법, 방송3법,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등 현실적으로 이견 또는 논란이 존재하는 법들이 많이 있다"며 "이런 법들이 일방적으로 통과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걸리더라도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 대안을 찾아가는 방법을 택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민생 입법을 서로 협의해 국민을 위해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물꼬를 트는 자리가 되길 희망한다"며 "여야가 실질적으로 정책 협의를 복원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얼마 전까지는 저도 야당의 정책위원장이었는데 이제 여야가 바뀌어 처지가 바뀌었다"며 "야당 정책위의장으로서 가졌던 자세를 잊지 않고 역지사지하는 심정으로 정책 협의에 임하겠다"고 약속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국민의힘 공약이 저희보다 훨씬 더 전향적인 부분들도 꽤 있다. 저희들이 부족했음을 솔직히 시인하고 적극 받아서 추진하겠다는 생각"이라며 "시간이 되는 대로 만나서 공통 공약들을 확인하고 함께 협의를 구체적으로 진행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