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건설업 위기…사업다각화·신사업·디지털로 돌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7010003717

글자크기

닫기

김동민 기자

승인 : 2025. 07. 07. 11:56

국내 건설산업 위기 진단·성장전략 담은 보고서 발간
“신사업, 신기술 확보 위해 M&A 및 R&D 투자해야”
다운로드
/삼일PwC
부동산 경기 침체 및 업종의 구조적 문제 등으로 위기에 처한 국내 건설업이 미래 성장산업이 되기 위해서는 사업다각화, 신사업 확대 등으로 사업모델을 다변화하고, 디지털 전환 및 스마트건설 기술의 활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삼일Pw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내일의 건설- 건설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부터 국내외 경기 부진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서 비롯된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건설사 부도 및 폐업이 증가하고, 건설사들의 성장성, 수익성 및 재무건전성 등 경영지표가 악화되며 건설업의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보고서는 국내 건설업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제한적 내수 규모로 성장성의 한계 △글로벌 경쟁력에서 밀리는 국내 건설사 △인력 고령화 및 더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생산성과 효율성 저하 △저자본 고레버리지 형태의 국내 부동산 PF 구조 등을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성장하기 위해 먼저 "인위적 부양이나 심폐소생이 아닌 시장논리에 근거해 경쟁력 없는 기업이 자연스럽게 퇴출될 수 있도록 용인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존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신사업을 통한 신성장동력을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기존 중동 중심의 해외 수주에서 유럽, 미국 등으로 수주 지역을 확대하고, 건설업 밸류체인에서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꼽히는 타당성조사, 기본설계, 자금 조달 등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며, 원전 및 친환경 분야로 건설 공종(건설공사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밖에도 생산성과 효율성 확대를 위한 디지털 전환을 비롯해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확대, 글로벌 메가 트렌드 변화에 따른 성장 기회 포착 등을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지속 성장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한 M&A 확대 △연구개발(R&D) 투자 및 오픈이노베이션 확대로 벤처 육성 및 기술 활용 △사업다각화 및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을 위한 대기업-중소기업 간 협력관계 구축 △해외 진출, M&A, R&D 투자를 위한 정책 지원 등을 제시했다. 여기서는 M&A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글로벌 지역 확장을 이룬 프랑스 방시그룹, 스페인 ACS그룹 등 해외 건설사 사례가 언급됐다.

한재상 삼일PwC 건설 부문(E&C) 리더(파트너)는 "국내 건설사도 해외처럼 적극적인 M&A를 통해 사업모델을 확장하고 이를 통한 수익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기술력 강화로 고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 전환한 조선업처럼 건설업도 DX, AX를 포함한 다양한 미래기술에 대한 투자와 신사업 및 신시장의 발굴을 통해 보다 성장성 있는 미래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동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