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화 1우선주 상폐 진통…“후속대책 면밀히 검토 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7010003911

글자크기

닫기

안소연 기자

승인 : 2025. 07. 07. 15:51

지난해 상폐 결정 후 일부 소액주주 갈등
"부당 상폐 의심" 주장에 "사실 아냐"
"보통주 전환, BPS 매수 형평성 어긋나"
[사진_2]_한화그룹 본사 사옥 전경
한화그룹 본사. /한화
한화그룹이 최근 ㈜한화 1우선주 상장폐지와 관련해 부당 상장 폐지가 의심된다는 일부 소수주주들의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며 반박했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화 1우선주 소수주주 연대는 관련 내용의 탄원서를 대통령실에 냈다. 이들에 따르면 한화 측이 상장 유지 요건인 20만주에 단 967주가 부족하게 자사주를 소각해 고의로 상장폐지를 하고 소수 주주를 회사에서 쫓아내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화 측은 "회사는 이미 장외매수를 통해 확보한 전량 25만2191주를 소각했고, 잔여 19만9033주는 그 결과로 남은 수량"이라며 "일부만 소각해 상장유지를 조정할 수 있다는 주장은 전제부터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한화 주식은 보통주와 제1우선주, 제3우선주가 있으며, 이 중 제1우선주는 월 평균 거래량이 1만 주 미만으로 관리종목 지정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 시기가 2023년 11월이고, 회사는 지난해 7월 5일 주식 전량을 장외에서 매수한 후 소각해 상장폐지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장외매수 가격은 3개월 평균가 대비 24.5% 할증된 4만500원이었다.

현재 일부 제1우선주 주주들은 보통주로 1대1 비율로 전환하거나 주당순자산가치(BPS) 수준인 11만2000원에 매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게 한화 측 설명이다.

보통주 전환은 정관상 불가능하고, 이를 실생할 경우 제3우선주와의 형평성 문제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BPS 역시 상반기 평균가인 4만4600원보다 151% 높은 11만2000원으로 다른 주주들과의 형평성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한화는 "상장폐지 이후에도 주주 유동성이 완전히 상실되지 않도록 장외매수 등 후속 대책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회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제1우선주 주주들에게 추가 안내를 드릴 예정이며, 향후 검토가 완료되는 대로 합리적이고 형평성 있는 보호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안소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