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부는 올해 1월부터 기술보증기금 내에 M&A지원센터를 설치해 일반 M&A 지원과 자녀승계가 어려운 고령의 대표들에게 M&A를 통한 제3자 기업승계를 돕고 있다. M&A지원센터는 △M&A 거래정보망 운영 △중개지원 △M&A 파트너스 네트워크 구축 △M&A 보증 △기술보호(TTRS 등) 등 원활한 제3자 기업승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달 기업승계형 M&A 2건을 성사시켰다. 해당 기업 모두 20년 이상 업력을 가진 중소기업으로서 60세 이상의 고령 CEO가 경영하는 제조 중소기업이다. A사는 2002년 설립해 23년간 폐배터리재활용업을 영위한 기업으로 사업확장을 추진하는 동종 분야의 중소기업에게 기업을 매각했다. B사는 2000년부터 25년간 폐기물처리업을 운영하다가 자녀 승계가 어려워 마찬가지로 동종 업종의 중소기업에게 매각했다.
이 과정에서 기술보증기금은 M&A 피인수 기업과 인수희망 기업의 경영진 면담, 현장 조사 등을 통해 M&A 컨설팅을 제공했고 인수 자금에 대한 보증지원으로 M&A 성사를 뒷받침했다. 두 기업 모두 M&A를 통해 오랜 기간 축적된 기술과 경영 노하우를 인계하고 종업원에 대한 고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중기부는 향후 고령화 추세 속에서 자녀승계가 곤란한 중소기업의 M&A 방식 기업승계 수요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M&A를 통한 기업승계 지원 인프라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보다 고령사회를 먼저 경험한 일본은 중소기업의 후계자 부재로 흑자 휴·폐업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부터 경영승계활성화법 제정, 2011년 사업인계지원센터 설립 등 기업승계 M&A 활성화를 위한 다각도 정책을 운영하고 있어 정책설계에 참고할 예정이다.
김정주 중기부 중소기업전략기획관은 "자녀승계가 곤란한 중소기업이 M&A를 통한 제3자 기업승계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특별법 제정과 지원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