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총리는 이날 "30일을 이재명정부 성공의 기초를 닦기 위해 300일처럼 뛰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첫 30일간 국정파악과 업무시스템 정비에 집중해, 국정의 중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이 안정되도록 보좌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규정한 국민의 평안한 삶을 위한 핵심과제인 '안전, 질서, 민생의 3대 국정과제'를 '속도, 소통, 성과의 3대 방식'으로 풀어가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김 총리는 무엇보다 지난 정부 3년의 퇴행과 12.3 불법계엄이 만들어낸 총체적 국가위기, 특히 제2의 IMF라 할 구조적이고 복합적인 경제위기의 실상을 명확히 정리해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정권교체 이후의 주가상승 등 긍정적 심리효과에만 기대하기에는 경제적 위기와 성장잠재력 저하가 너무 구조적이고 절박하다"며 "상당기간 초당적으로 국민의 에너지를 모아내기 위해 경제위기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알리겠다"고 말했다.
총리가 직접 주관하는 사회적 대화플랫폼 'K 토론나라'를 격주 단위로 운영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이를 통해 주요한 국정과제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이해를 높이고, 사회적 대화와 협약의 기초를 닦겠다는 구상이다.
총리가 세종에서 주기적으로 집중근무하는 '세종주간'을 지정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김 총리는 "세종주간을 통해 세종 및 충청 중부권에 국가행정력이 더 집중되고 균형발전은 더 진전될 미래국가의 토대를 차근차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정의 모든 분야에서 국민 각계각층의 주도적 참여를 높이되, 특히 10대~40대에 이르는 미래주도세대가 자신의 오늘과 내일에 관련된 국정 주요현안에 발언권을 높이는 세대혁신을 각종 위원회 구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현해가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김 총리는 첫 30일의 과제 실현을 위해 취임 후 첫 한 달간 '10X3 플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10X3 플랜은 취임 후 첫 번째 10일은 이 대통령이 강조한 폭염, 호우 등 자연재난, 산업재해 등 각종 사고예방에 집중하고, 두 번째 10일 공직사회의 시스템 점검에 주력한다는 복안이다. 세 번째 10일은 각 부처가 점검하고 국정기획위원회가 기획한 다양한 정책을 현실 정책으로 마감할 준비를 하며 정책점검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김 총리는 이와 함께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준비, 국회와 정치권 및 지방자치와의 협력, 사회적 외로움과 자살예방을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 등을 병행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