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대우건설에 따르면 회사는 대안설계 적용에 따른 인허가 비용과 착공 전 각종 비용으로 추산되는 측량비·지질조사비·풍동실험비 등을 30억원까지 부담한다.
대우건설은 "시공사 선정 즉시 조합이 제시한 원안 계약서를 100% 수용해 계약을 체결하고, 곧바로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인허가 및 각종 비용을 부담하기로 했다"며 "이는 개포우성7차 재건축사업의 성공을 바라는 회사의 진정성을 제안서에 담은 것"이라고 말했다.
지하철 3호선 대청역을 단지와 직통으로 연결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연결공사 인허가 지원은 물론, 공사 수행 시 80억원까지 대우건설이 부담키로 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실질적인 지원을 보장해 조합원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제안"이라며 "앞으로 인허가 불가시 해당금액은 단지 고급화를 위해 다른 공종에 투자하겠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최근 수도권 주요 정비사업장에서 시공사의 공사비 인상 이슈로 투명한 공사비에 대한 각 조합의 경계가 심해지고 있고 이를 검증하려는 니즈가 많아지고 있다고 보고, 조합 요청으로 공사비 검증을 진행할 경우 검증 관련 비용 전액을 부담하겠다고 약속했다.
내부 마감재에서도 강남 핵심 재건축단지에 걸맞은 제품을 제안했다. 특히 음식물쓰레기 이송설비에 투자하기로 했다.
조합의 마감재 지침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시설은 분쇄형 처리기만 제안해도 되지만, 대우건설은 최근 강남권 신축 아파트들의 트렌드에 따라 진공 흡입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이송설비'를 제안했다.
이는 일반 분쇄형 처리기 대비 편의성은 물론 약 30억~40억원 차이가 나고 별도 배관공사로 인해 공사기간이 더 소요되지만, 회사는 최신 하이엔드 주거의 필수 아이템으로 판단하고 조합에 추가로 제안했다.
최근 재건축 단지들의 고민거리 중 하나인 상가 분양 활성화를 위한 상가 MD 구성 및 분양 컨설팅 비용도 총공사비에 포함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경쟁사 대비 우위에 있는 다양한 세부항목들이 모두 총공사비에 포함됐기에 20억원의 총공사비 차이를 상쇄함은 물론, 조합원에게 돌아가는 실질적인 혜택을 크게 늘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