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짐 뱅크스(공화·인디애나)·엘리자베스 워런(민주·매사추세츠) 상원의원은 황 CEO에게 방중 기간 미국의 수출규제 명단에 오른 기업과의 만남을 자제하라는 서한을 보냈다. 또 중국 군부 또는 정보기관과 협력하는 기업과의 만남도 경계하라고 했다. 그러면서 "(황 CEO의 방중이) 중국 군부와 협력하는 기업에 정당성을 부여하거나 미국 수출 규제의 허점을 악용할 수 있는 논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로이터통신은 황 CEO의 방중 시점을 11일로 보도했다.
미국은 전임 조 바이든 대통령 시절부터 국가 안보를 이유로 미국산 최첨단 반도체칩의 대중 수출을 제한해 왔다. 엔비디아는 이 같은 규제를 피하기 위해 기존 H100칩에서 성능이 낮아진 H20칩을 제작해 중국에 수출해 왔는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관련 규제를 강화해 H20칩의 대중 수출도 제한한 바 있다. 미국 의회는 자국산 고성능 반도체의 중국 우회 수출에 대해 우려하며 반도체 칩의 위치추적을 강제하는 법안 발의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황 CEO는 미국의 수출 통제가 중국 기업들의 자체 개발 가속을 자극했다며 비판적 입장을 견지해 왔다. 엔비디아는 또 미국 규제를 위반하지 않도록 설계된 중국 전용 칩을 출시할 계획인 것으로도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