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방문 업무 부담 86% 이상 줄여
|
13일 LG유플러스는 한국전력공사와 데이터 기반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해 고독사를 예방하는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에 본격 참여한다.
해당 서비스는 한국전력이 2021년부터 시행 중인 복지 서비스로 1인 가구의 고립과 고독사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도입됐다. 가정 내 설치된 원격검침계량기(AMI)를 통해 수집된 전력 사용 데이터를 분석해 장기간 사용이 없거나 갑작스러운 변화가 있을 경우 이상 징후를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여기에 LG유플러스의 통화 및 데이터 사용 패턴 등 통신 정보가 결합되면 이상 감지 정확도가 높아지고 불필요한 오탐지도 줄어든다. 위기 상황이 감지되면 관련 정보는 즉시 지자체에 전달되며 AI가 자동으로 안부 전화를 시도하거나 복지 공무원이 직접 확인·출동하는 체계로 운영된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해당 서비스를 통해 지금까지 총 13명의 생명을 구조한 사례가 있으며 복지 공무원의 전화·방문 업무 부담을 86% 이상 줄이는 효과도 있었다. 또한 기존 IoT 기반 시스템 대비 약 6900억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LG유플러스는 한국전력과 함께 안전한 상호 데이터 연계를 위한 전용망을 구축하고, AI 기반의 정밀한 분석을 통해 사회안전망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박종운 한국전력공사 ICT기획처장은 "AI와 데이터가 사람을 살리는 시대에, 기술은 삶을 지키는 또 하나의 사회적 인프라다"라며 "이번 협약이 돌봄 공백 없는 사회로 나아가는 실질적인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고객그룹장(전무)은 "한국전력의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에 통신 데이터를 제공해 사회 취약계층에게 안전한 삶과 밝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데 기여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한국전력과 데이터 기반의 사회안전망 서비스 및 디지털 신사업 개발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