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최대 2.8%
|
1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1조150억원으로, 새 정부 출범 직전인 지난 6월 2일(18조3463억원) 대비 2조6686억원(14.6%) 증가했다. 신용거래융자는 증권사가 개인에게 주식 매수 자금을 빌려주는 거래로,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 레버리지를 활용한 투자가 가능하다.
신용거래 융자 잔고가 늘어난 데에는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고점을 경신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코스피 지수가 더 오를 것이라고 보는 투자자들이 많아 빚을 내서라도 투자하고 있다는 얘기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6.26포인트(0.83%) 오른 3202.03에 마감했다. 정부 출범 직전인 6월 2일(2698.97) 대비 18.64% 오른 수치다. 지난 11일 장중에는 3215.60을 기록하며 3년 10개월 만에 연중 최고점을 경신하기도 했다.
다만 신용거래 확대가 수익률 변동성도 키울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증권사마다 신용융자 금리가 크게 달라 투자자 부담도 크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90개 증권사의 31~60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최종 금리는 유안타증권이 9.8%로 가장 높았고, 상상인증권은 7.0%로 가장 낮았다. 두 증권사 간 차이는 2.8%포인트에 달한다.
같은 기간 기준금리는 평균 2.563.44% 수준으로 0.88%포인트 차이에 그쳤지만, 가산금리는 3.566.93%로 3.37%포인트까지 벌어졌다. 금리 차이 대부분이 가산금리에서 비롯된 셈이다.
단순히 신용융자 규모나 주가만 볼 게 아니라, 자금을 빌리는 데 드는 비용도 꼼꼼히 따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유안타증권 관계자는 "자금 조달 비용과 업무 원가 차이로 인해 명목상 금리가 높아 보일 수 있지만, 당사는 '체차법'을 적용해 실질 이자 부담은 더 낮을 수 있다"며 "전체 기간에 일괄 금리를 적용하는 '소급법'을 사용하는 증권사와 비교할 경우 고객 부담이 오히려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체차법은 신용융자 기간을 일정 구간별로 나누고, 구간마다 서로 다른 금리를 적용해 이자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반면 소급법은 최종 이용 기간의 금리를 전체 기간에 일괄 적용하는 구조로, 장기 보유 시 투자자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금리 수준뿐 아니라 이자율 적용 방식까지도 투자 전략에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장 상승기에는 신용거래 확대가 자연스러운 흐름이지만, 증권사별로 금리가 최대 2~3%포인트 차이 나는 것은 결코 적지 않다"며 "장기 보유 시 수익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투자자들이 금리 구조를 전략적으로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