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던파 20주년 행사 결국 취소...네오플 파업 여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5001118478

글자크기

닫기

김동욱 게임담당 기자

승인 : 2025. 07. 15. 11:20

던전앤파이터 공식 홈페이지 /스크린샷
던전앤파이터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대형 오프라인 행사 'DNF Universe 2025'가 취소됐다. 콘텐츠 완성도 부족이 이유지만, 그 배경에는 개발사 네오플 노동조합의 파업이 놓여 있다.

넥슨은 14일 오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DNF Universe 2025' 행사가 부득이하게 취소됐다"고 밝혔다. 

행사는 던전앤파이터를 중심으로 네오플의 다양한 게임들과 업데이트 계획을 한자리에 모으는 자리로 기획됐다. 행사장에는 시연존과 개발 강연, 컬래버 굿즈 전시 등 팬과 유저를 위한 콘텐츠가 준비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넥슨은 "내부 여건상 당초 보여드리고자 했던 콘텐츠를 충분한 완성도로 선보이기 어렵다"고 이유를 밝혔다. 구체적인 사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시기적으로 네오플의 파업과 겹친다는 점에서 행사가 무산된 실질적 원인이라는 해석에 힘이 실린다.

◆ 행사 전날까지 이어지는 파업...'던파'에 남긴 그림자
현재 네오플은 전면 파업 중이다.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오플분회는 지난달 25일부터 제주 본사와 서울지사에서 동시에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은 행사 하루 전날인 8월 8일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명확한 인과를 인정하긴 어렵더라도, 행사 취소 배경에서 네오플 노조 리스크를 배제하기는 어렵다.

노조 측은 중국 수익 약 393억 원에 대한 별도 성과급, 이른바 PS(Profit Share)를 요구하고 있다. 반면 넥슨은 기존 GI(Growth Incentive) 제도를 통해 이미 공정한 보상이 이뤄졌고, 던파 모바일은 오히려 GI가 추가 지급된 유일한 사례라고 맞서고 있다.

양측은 작년부터 GI 방식과 PS 방식 간 차이를 좁히지 못한 채 평행선을 달려왔고, 결국 사측의 보상안 수용을 거부한 노조가 전면 파업이라는 초강수를 택하면서 갈등은 정점을 찍었다.

◆ 고연봉자들의 집단행동, 공감보다 괴리감
6월 24일 열린 네오플 집회 현장. /사진=김휘권 기자
이번 파업은 국내 게임업계에서 실질적으로 현실화된 첫 전면 파업이다. 그 주체가 연봉 수준이 업계 최고로 꼽히는 네오플이라는 점에서 더 큰 주목을 받고 있다.

2023년 기준 네오플 직원 수는 1402명, 전체 인건비는 3069억 원에 달한다. 1인당 평균 연봉은 약 2억 1,888만 원. 같은 해 국세청이 발표한 국내 근로소득자 평균 연봉(약 4,332만 원)과 비교하면 5배가 넘는다.

이런 배경에서 평균 연봉 2억 원을 넘는 고연봉 개발자들이 "이 돈으로 살아봐" 같은 생활임금 투쟁가를 부르며 시위에 나선 모습은 공감보다 괴리감을 키웠다. 실제로 지난달 24일 서울 강남 네오플 사옥 앞 집회 현장에서 이 장면은 SNS를 통해 대중 사이에서도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정부가 게임을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규정하고, 진흥책을 강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파업은 오히려 그 흐름에 찬물을 끼얹는 모양새가 됐다.

◆ 파업이 바꿔놓은 20주년의 의미
'DNF Universe 2025'는 오프라인 행사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던파 시리즈의 20년을 집대성하고, 이후 행보를 팬들에게 직접 공유하는 장이자, 네오플의 브랜드 리포지셔닝 이벤트인 것. 

그러나 이번 행사 취소로 네오플은 자신들의 20주년을 축하하기는커녕 조직 내부의 불협화음을 공론화하는 상황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던전앤파이터는 한국 게임 산업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IP다. 수차례의 위기와 부침 속에서도 원작은 꾸준히 생존했고, 모바일 버전은 해외에서 또다시 '기적'을 만들었다. 

하지만 그 상징적 순간은 결국 파업과 행사 취소라는 이미지로 대체됐다. 라이브 서비스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팬들과의 약속'은 지키지 못한 셈이다.
김동욱 게임담당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