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란 “美와 협상 반대 않지만, 우라늄 농축 권리 존중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5010008380

글자크기

닫기

천현빈 기자

승인 : 2025. 07. 15. 11:13

IRAN-ISRAEL-CONFLICT-CEASEFIRE
지난 13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의 발레아사르 광장 중앙에 이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를 묘사한 광고판이 전시돼 있다. /AFP·연합
이란이 미국과의 핵협상에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우라늄 농축 권리를 존중하는 조건 하에 협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14일(현지시간) 국영 뉴스통신 IRNA에 따르면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국제문제 선임고문인 알리 아크바르 벨라야티는 14일(현지시간) 미국과의 핵협상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핵협상이 이란의 우라늄 농축 권리를 존중하는 방향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라늄 농축 중단은 사실상 불가하다는 조건이다.

벨라야티 선임고문은 이날 테헤란에서 파키스탄 내무장관과의 회담에서 "전제 조건 없이 진행되고 이란의 레드라인을 존중하는 (미국과) 협상에 대해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포기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이는 우리의 레드라인 중 하나"라고 일축했다. 핵협상이 농축 중단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면 그런 협상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날 벨라야티 선임고문의 발언은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이 미국과의 회담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힌 뒤 나왔다. 바가이 대변인은 미국의 스티븐 위트코프 중동특사와 이란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의 회담 계획에 대해 "현재 이 문제와 관련해 구체적인 날짜와 시간·장소가 결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위트코프 특사와 아락치 장관은 이란 핵 프로그램 합의 도출을 위해 지난 4월부터 5차례 간접 협상을 진행했지만, 이스라엘의 이란 기습 공격으로 협상이 중단된 바 있다.

지난달 미국의 중재로 이뤄진 휴전 이후 위트코프 특사와 아락치 장관은 핵협상 협의 재개를 위해 물밑 접촉을 이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재임 당시 체결된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에 따라 이란은 핵연료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 농도를 제한하기로 했지만 농축 자체를 금지시키진 않았다.
천현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