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간부 모시는 날’ 아직도…공무원 9명 중 1명 경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5010008605

글자크기

닫기

세종 김남형 기자

승인 : 2025. 07. 15. 14:26

행안부-인사처, 간부 모시는 날 합동 실태조사 결과
지자체 비율 12.2%로 중앙보다 높아
응답자 "조직 분위기·간부 눈치 여전"
행안부1
/박성일 기자
하위직 공무원이 순번을 정해 간부에게 사비로 식사를 대접하는 이른바 '간부 모시는 날' 관행이 여전히 공직사회에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간부 인식 개선과 신고 체계 강화를 통해 근절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행정안전부(행안부)와 인사혁신처는 지난 4월 합동으로 실시한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결과, 최근 1개월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응답자는 11.1%로 집계됐다고15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조사보다 7%포인트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공무원 9명 중 1명은 해당 관행을 겪고 있는 셈이다.

이번 조사는 총 11만3404명(중앙 2만8809명, 지자체 8만4595명)이 참여했으며, 중앙부처(7.7%)보다는 지방자치단체(12.2%)에서 이 같은 경험을 한 비율이 높았다.

접대 대상은 대부분 '부서장(과장급)'으로 75.9%를 차지했다. 응답자들은 이 같은 관행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로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조직 분위기와 관행'(35.8%), '인사·성과평가 주체인 간부 눈치'(22.5%) 등을 꼽았다.

응답자의 32.8%는 관행이 줄었다고 평가했지만 34.0%는 "기관 차원의 조치가 없었다"고 답했다. 관행 근절을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로는 '간부 공무원의 인식 개선'(42.9%)이 1순위로 꼽혔다.

한편 응답자의 75.6%는 간부와 직원 간 소통 자체는 여전히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부는 더치페이·티타임 등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소통 문화를 확산해 관행 없는 건전한 조직문화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간부 모시는 날 관행을 없애기 위해 지난해 11월 첫 조사 이후 대책회의와 현장 간담회를 열고 기관 차원의 개선을 권고해왔다. 범정부 혁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지자체 공무원의 애로사항을 수렴하고 있으며, 국민권익위원회는 관행적 부패·갑질 근절을 위한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 집중신고기간을 5월부터 7월까지 운영 중이다.

김민재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은 "잘못된 관행을 완전히 뿌리 뽑기 위해서는 간부들의 의지와 솔선수범이 가장 중요하다"며 "공직사회 내 불합리한 관행을 지속적으로 발굴·개선해 공무원들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일할 맛 나는 공직환경'을 만들기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