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15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도시대상 시상식에서 경기 수원시가 대통령상을, 국무총리상은 경기 고양시가 각각 수상했다고 1밝혔다.
지난 2000년부터 국토부는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도시의 지속 가능성과 생활 인프라 수준을 도시사회·경제·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종합 평가해 우수 지자체에 대한민국 도시대상을 수여하고 있다.
올해는 저출생, 고령화, 기후변화 등 도시 현안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각 지자체의 구체적인 대응 노력을 중심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대통령상을 수상한 수원시는 도시의 자생력 확보와 공동체 회복을 위한 도시재생 정책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3149억원 규모의 '기업 새빛펀드'를 신규 조성해 지역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또 지역형 집수리사업인 '새빛 하우스'를 통해 1100여가구에 달하는 노후주택을 개선한 점도 도시재생의 모범사례로 꼽혔다.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경기 고양시는 △안전 △교통 △복지 △환경 △행정 5개 분야의 스마트 기술을 적극 활용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점이 주목받았다.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AI) 기반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해 이상상황 자동탐지 및 분석을 통해 주민의 안전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다. 또 교차로 교통정보를 토대로 교통신호를 제어하여 시민편의를 증대시킨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수원, 고양시 외에도 △한옥마을의 정주권을 보호하고 관광 활성화를 위해 '북촌 특별관리지역'을 지정한 '서울 종로구' △기초자치단체 최초로 'RE100 지원팀'을 신설해 관내 기업의 RE100을 지원한 '경기 파주시' △기존 도심 공간 내 근대 건물을 활용한 '1897 개항문화거리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한 전남 목포시 등 8개 지자체가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정우진 국토교통부 도시정책관은 "이번에 수상한 지자체들은 도시재생·인구감소 대응 등 핵심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며 "도시가 겪고 있는 다양한 현안은 개별 지자체의 노력만으로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는 만큼, 우수 사례를 함께 공유하고 대응하며 정부와 지자체가 공동으로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