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로봇 등 모빌리티 개념 확장 가능
|
15일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SK렌터카 오토옥션에서 모빌리티 애프터마켓과 렌털업의 미래를 주제로 '2025 대한민국 모빌리티산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은 SK렌터카의 직영 중고차 경매장 개장을 기념해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SK렌터카가 공동 주최·주관하고 국토교통부가 후원했다. 주제발표는 '모빌리티 애프터마켓 전망과 가능성'과 '렌터카 중심, 미래 애프터마켓 활성화 방안' 순으로 이어졌다.
이정환 SK렌터카 대표이사는 개회사에서 "모빌리티 애프터마켓의 규모는 연간 150조원 규모라고 보고 있다. 향후 10배 정도 성장 가능한 시장이라 보고 있다"며 " 최근 자동차가 기존 내연기관에서 수소·전기차로 발전하면서 하나의 전자제품이 되어가고 있다 "고 말했다. 이어 "(오토옥션은) 단순히 경매장을 넘어 판매까지 이뤄지는 원스톱으로 구성돼 있어 향후 전진하는 큰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는 모빌리티 애프터마켓의 미래와 잠재력을 강조했다. 그는 "기존 자동차를 넘어 휴머노이드 로봇,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광범위한 모빌리티 개념 확장과 함께 애프터마켓 규모가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내연기관에서 친환경차로의 전환, 자율주행 및 인공지능 기술 발달이 애프터마켓의 성장을 가속화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다양한 분야의 융합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영훈 보스턴컨설팅그룹(BCG) 파트너는 "한국 렌터카 산업이 한국을 대표하는 플리트(Fleet) 사업군, 애프터마켓과의 강한 연계성, 공공·민간 모빌리티 미래 변화의 촉매라는 세 가지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렌터카 기업이 보유한 차량, 고객, IoT(사물인터넷)·데이터는 다양한 제휴 및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며, 축적된 데이터와 플랫폼은 광의의 애프터마켓에서 혁신적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렌터카 기업의 데이터가 내부 최적화를 넘어 OEM(완성차), 부품사, 보험사 등 다양한 애프터마켓 사업자와의 협업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