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모주 의무보유 변수에… 주관사들 ‘IPO 전략 수정’ 촉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6010008884

글자크기

닫기

김진아 기자

승인 : 2025. 07. 15. 17:51

40% 이상 보유 확대 IPO 제도 시행
확약 부족땐 강제 물량 매입도 부담
4분기 묻지마 고평가 사라질 가능성
업계 "양적 경쟁서 질적 상장 분위기"
기관투자자들의 의무보유확약이 40%로 확대되는 기업공개(IPO) 제도가 이달부터 시행됨에 따라 공모주 시장의 판도가 달라질 전망이다. 주관사의 책임이 강화되면서 공모가 산정 전략에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관투자자들이 중장기 보유 부담을 감수할 정도로 투자 가치가 높은 기업에 수요가 몰리게 될 것이란 관측도 힘을 얻고 있다. '옥석 가리기'가 시작될 것이란 얘기다.

15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이달부터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기존 평균 20% 미만에서 40% 이상으로 상향되고, 확약이 부족할 경우 주관사가 일부 물량을 매입하게 된다. IPO 시장이 단기 차익 실현의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 속에 제도의 본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마련된 조치다. 상장 당일 기관투자자들의 물량이 대거 빠져나가는 식의 투자 행태들이 반복되면서 일반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증권가에선 새 제도를 직접 적용해 본 사례가 없어 아직은 제도 변화가 크게 체감되지는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올해 4분기부터는 실제 공모가 조율 과정에서 발행사의 고평가 요구와 적절한 가격 사이에서 주관사의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증권사들은 공모 절차에서 시장 친화적인 조건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조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발행사가 원하는 높은 공모가를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상장 이후 주가 안정성과 투자자 신뢰를 고려한 방향으로 발행조건을 조율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는 향후 IPO 성과를 좌우할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 증권사 IPO 담당자는 "물량을 떠안게 될 수 있다는 부담이 커진 만큼, 투자자들이 환영할 수 있는 수준에서 공모가를 더 보수적으로 산정하지 않을까 본다"며 "발행사를 설득하는 과정도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과거에는 양적 경쟁 중심이었다면, 지금은 딜의 질과 안정적인 상장 마무리에 더 집중하는 분위기로 바뀌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번 제도 개편으로 하반기 공모를 준비 중인 기업들 역시 더욱 보수적인 전략을 채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투자 매력도를 명확히 전달하지 못하면 기관투자자의 외면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발행사의 IR 활동도 강화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앞으로는 단순히 상장에 성공하는 것보다 상장 이후 지속적인 수익성과 시장 안착 여부가 중요해질 것"이라며 "IPO 자체보다 사후 관리까지 포함하는 책임 있는 주관이 강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기업과 주관사 모두 공모가를 단순히 높게 가져가기보다는 상장 이후의 주가 흐름과 투자자 신뢰까지 고려한 '질 중심의 상장'에 보다 무게가 더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관투자자들의 확약 참여를 이끌려면 기업의 투자 매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IR과 밸류에이션 전략에 더 많은 리소스가 투입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제도 개편이 공모가 현실화와 시장 신뢰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대형 우량기업 중심의 수요 집중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상장 초기에는 IPO 공모주에 대해 적정 주가에 대한 시장의 컨센서스가 부족해 가격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며 "제도가 개편된 이후에도 유통주식 비중이 적은 경우에는 이러한 변동성이 여전히 지속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