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지난 13일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를 언급하며 "사고원인 신속하게 철저히 조사해 안전조치 등 미비점 없는지에 대해 신속하게 확인하고 잘못 대해선 엄정하게 책임 물어야 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돈보다 생명이 훨씬 귀중한 것인데, 일선에서는 생명보다 돈을 더 귀히 여기는 경향이 없지 않다"며 "특히 안전을 비용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 풍토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원칙들을 잘 지켜나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삶의 터전이 돼야 할 일터가 죽음의 현장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산업안전 업무를 실제로 담당하는 근로감독관들을 약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서 예방적 차원에서 산업안전 조치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현장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나가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어 "공무원들에게 특법사법경찰관 자격도 신속하게 부여해서 현장에 투입하는 대안으로 검토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전에서 모자가 숨진 지 20여일 만에 발견된 일을 언급하며 "이런 비극이 반복되는 것에 대해 큰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런 문제에 대해서만큼은 정부가 소극행정에서 탈피해 선제적으로 (사고를) 예방하는 적극행정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대통령은 최근의 집중호우에 대해 "국가의 제1책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반지하, 지하차도, 지하주차장, 범람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옹벽 등에서의 점검과 긴급대응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제헌절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일 군사 쿠데타 사태를 겪는 도중 우리 국민은 헌법이 정한 주권자로서의 역할, 책임을 다해 결국은 민주 헌정질서를 회복했다"며 "향후에 제헌절을 특별히 기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