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확산 위해 기술사업화 본격 추진
민간 중심 구조 전환에 기업 참여 확대 전망
|
17일 관련 부처에 따르면 이날 배경훈 신임 과기부 장관이 취임하며 이재명 정부의 초대 과학기술 정책 인선이 마무리됐다. 이제 새 얼굴로 첫 발을 내딛은 과기부이지만, 배 장관을 비롯해 구혁채 신임 1차관과 박인규 신임 과기혁신본부장 모두 취임 직후 R&D 연구환경 회복이라는 공통된 의제를 제시하고 있다.
배 장관은 취임식에서 "그간 위축됐던 연구생태계 복원을 위해 충분한 규모의 R&D를 안정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6일에도 "연구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민간 주도의 R&D 기획·투자·평가 체계로의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등 양질의 연구환경 개선 의지를 전하기도 했다. 구 차관 역시 취임 직후 빠른 R&D 예산 확보와 이를 통한 연구 과제 확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처럼 과기부 신임 장관과 차관 모두 신속한 연구환경 복구와 R&D 혁신을 외치는 만큼, 이전 정부에서 주력해온 국가 기술사업화 정책에도 가속도가 붙게 될 가능성이 커졌다. 기술사업화는 정부 주도 하에 연구개발된 기술을 사업에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목표로, 직전 장관이었던 유상임 전 장관이 임기 마지막까지 중점 과제로 추진했었던 정책이다.
그 일환으로 지난 4월 교육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선포식에서는 범부처 협업 기반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과 정부 출연 연구기관 거점화, 민관합동 협의체 구성 등 추진 방안을 제시됐다. 지난 10일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가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키스트이노베이션 주식회사'를 공식 출범하며 장관 이취임 직전까지 활발한 정책 행보가 이뤄졌다.
여기에 배 장관이 민간 중심의 R&D 구조 전환을 강조하면서 출연연과 함께 기술사업화의 한 축을 맡는 기업들의 원활한 참여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과기부는 이번 정부의 정책 기조를 맞춰가면서 산업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방침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대선 당시 공약으로 제시됐던 정부 R&D 성과 확산을 실현하기 위해 혁신 성장 체계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며 "민간 기업 참여나 주도를 위한 방안은 향후 예정된 의견 수렴 이후 논의를 거쳐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