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과잉' 석유화학 재편 속도
11차 전기본 원전 건설 속행
|
17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는 "기업에서 해외 마케팅 업무를 할 때 중국은 주식회사 중국, 미국은 주식회사 미국으로 불릴 만큼 기업과 정부가 함께 뛰는 반면 우리는 왜 홀로 뛰어야 하는지 자조를 많이 했다"면서 "취임한다면 기업과 정부가 함께 뛸 수 있는 산업 정책을 내고 경제 안보를 챙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간 출신으로 산업부에 대한 전문성이 의심된다는 지적에는 "기업의 현장 경험들이 산업 정책과 통상 에너지분야에서 나름대로 역할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2013년 기획재정부에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만들 당시 저출산·고령화·산업경쟁력 강화 등에 대한 보고서를 만든 적이 있다"면서 산업 전반에 대한 업무를 수행했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25년간 기획재정부에 몸 담은 후 7년간 두산에너빌리티에서 사장 등을 역임했다.
정책과 관련해선 '잘 되는 산업은 밀어주고, 어려운 산업은 살린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김 후보자는 "반도체·미래차 등 핵심 산업에서 국내 투자·기술을 확충해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면서 "석유화학·철강 등 공급과잉 산업은 신속한 사업 재편과 고부가 제품 전환을 통해 재도약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신속한 석유화학 재편을 위해 공정위의 기업합병 심사를 간소화해야 한다는 질의에는 "기업활력제고특별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부 장관이 공정위 의견을 청취하고 사업 재편 계획에 포함시키면 심사를 거친 것으로 간주한다는 구상이다.
에너지와 관련해선 원전·재생에너지의 조화 뿐 아니라 기존 정책과의 연속성을 강조했다. 재생에너지 부문에선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고속도로' 등 신사업을 적극 실현하되, 원전 부문에선 전정부의 11차 전력기본계획에 따라 설비 건설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후보자는 "산업통상위원회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11차 전기본을 위한 여야 합의를 도출해줬다"면서 "당시 기업들은 에너지 분야가 정치적 논리에서 벗어나 제 자리를 찾아가 매우 기쁜 마음이었으며, 충실히 이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조선 부문에선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후에도 연계성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김 후보자는 "조선은 다양한 분야가 얽힌 복합 산업이며 일본은 이런 부분을 놓쳐 경쟁력을 잃었다"면서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고 해수부와 긴밀한 연계성을 살려가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조선업이 갖는 제조 역량이 미국에 없기 때문에 미국과 협력한다면 시너지 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미국 관세 협상에 관해서는 "현재 참여하지 않지만 보고는 받고있다"면서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는 엄중한 시기라고 인식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특히 농산물의 경우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당시 농민·축산민들의 어려움을 생생히 기억한다"면서 "농민 삶과 연관된 굉장히 민감한 이슈인 만큼 협상 팀도 관계부처와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