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반로봇 자율주행 높여 이동AI 구축
농작업 수작업→자동화 생산 극대화
작물 생육 예측해 맞춤 재배 전략도
|
대동 AI 로봇 소프트웨어(S/W) 전문 자회사 대동에이아이랩은 17일 서울 서초구 대동 서울사무소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개최했다. 먼저 '이동 AI'는 비정형 야외 환경에서도 농기계와 로봇이 스스로 주행 경로를 판단하고 최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이동 AI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비전 기반 자율주행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과수원과 밭 사진 약 50만장·주행 영상 약 300만건을 수집해 국내 최대 규모의 농업 데이터를 확보했으며 자율주행 AI를 구축하고 있다. 대동에이아이랩은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자율주행 4단계의 플래그십 트랙터를 시작으로 운반로봇의 자율주행 성능 향상 등 그룹 내 다양한 농기계·로봇에 이동 AI를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작업 AI'는 다양한 농작업을 농기계·로봇이 대행하는 농업 분야의 피지컬 AI 기술로 사람이 수행하던 수작업을 자동화해 농업 현장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대동은 농업 환경과 작물 생육 상태에 따라 농기계가 스스로 판단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화를 추진하고 있다.
우선 트랙터의 대표적 작업인 경운에 초점을 맞춰 카메라·센서를 통해 토양 상태를 분석하고 작업 품질을 실시간 평가하는 자율작업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기존 대비 최대 30%의 작업 시간 단축과 15%의 연비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향후 로더·그리퍼·시비기 등 다양한 작업기로 확대 적용한다. 또한 2025 CES에서 공개한 모방학습 기반 다기능 로봇을 고도화해 딸기·토마토 재배에 필요한 농업 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동에이아이랩은 사람이 로봇을 원격 조작하며 AI가 바로 학습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다양한 작물의 농작업 데이터를 단계별·작업별로 구분해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있다. 이는 향후 공장이나 가정에서 피지컬 AI가 본격 확산될 때 농업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경쟁력을 선제적으로 갖추기 위함이다.
'재배 AI'는 숙련된 농부의 경험과 지식을 AI로 구현해 안정적인 작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위성 등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물 생육을 예측하고 그에 맞는 맞춤형 재배 전략을 제공한다.
최준기 대동에이아이랩 대표는 "AI가 농업에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농업 현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 출발"이라며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농업을 보다 손쉽고 스마트하게 만들어 지속 성장하는 AI 기반의 농산업이 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