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아픈 세 손가락이 中 경제 애물단지, 대책 절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0010011496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7. 20. 18:34

현재 중국 경제 어려운 것은 사실
부동산, 전기차, 태양광 산업이 원흉
무사히 해결되지 않으면 재앙 불가피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현재 중국 경제는 썩 좋다고 할 수 없다. 상반기에 전년 대비 5.3% 성장, 나름 선방했다고 하나 하반기에도 계속 이런 기조를 계속 유지할지 장담하기도 어렵다. 게다가 중국의 통계 신뢰도가 의문시되는 현실까지 감안하면 향후 경제는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단언해도 좋다.

clip20250720183223
중국 경제가 과잉 생산으로 인한 버블에 휩싸여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한 매체의 만평. 특히 부동산, 전기차, 태양광 분야의 거품은 심각하다. 중국 당국이 해결을 위해 노력하지 않을 경우 대재앙을 피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신징바오.
이처럼 중국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그럼에도 딱 한가지만 콕 집어 말하라면 아무래도 과잉 생산을 꼽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경제 전반의 과잉 생산이 극단적인 경쟁 유발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면서 모든 것을 엉망으로 만들고 있다는 얘기가 아닌가 싶다.

신징바오(新京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최근 보도의 행간을 읽어보면 과잉 생산이 가장 심각한 산업은 역시 부동산을 필두로 한 전기자동차, 태양광 분야라고 단언해도 괜찮을 것 같다. 우선 부동산 산업의 경우는 두 말이 필요 없다고 해야 한다. 수년 전 마침내 터진 버블로 인해 온갖 부작용이 중국 경제 전반을 위협하고 있다.

한때 업계 빅 스리로 불렸던 헝다(恒大·에버 그란데),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 가든), 완커(萬科·반크)의 부채 총계가 약 6조 위안(元·1170조 원)에 이른다면 더 이상 설명은 필요 없다. 국가 부도로 이어지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고 해야 한다. 베이징의 경제 평론가 천다시(陳大希) 씨가 "과잉 생산에서는 부동의 위치를 차지한다는 부동산 산업의 총 부채는 50조 위안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해결이 불가능할 정도라고 해도 좋다. 중국 경제의 미래가 암담하다"면서 혀를 차는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전기차 산업의 경우는 부동산보다는 나으나 역시 만만치 않다. 엄청난 버블이 과잉 생산을 계속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8개 상위 업체의 총 부채도 2조5000억 위안으로 추산되고 있다. 한때 전기차 3대장 중 하나로 불리던 웨이라이(蔚來·니오)가 사실상 디폴트(채무 상환 불이행) 상태에 빠졌다는 소문이 파다한 것은 분명 괜한 게 아닌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 분야도 전기차 산업과 비슷한 양상에 직면해 있다. 정부에 협조적인 경제학자나 언론인들조차 과잉 생산 기조에 칼을 들이대지 않으면 전체 경제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중국 정부도 어느 정도 인정하는 것으로도 알려지고 있다.

부동산과 전기차, 태양광 산업은 덩치가 엄청나게 크다. 중국 경제를 이끄는 삼두마차라고 해도 좋다. 그러나 한꺼번에 과잉 생산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책 마련이 쉽지 않다. 전체 국가 경제가 흔들릴 수도 있다. 중국 경제 당국이 지금부터라도 이들 아픈 세 손가락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책 마련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 싶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