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 어려움 해소까지 다뤄져야
|
21일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EU 공급망 실사 지침(CSDDD) 사정권에 드는 대기업들이 협력사에 재생에너지 사용 등과 관련해 실사를 통해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최소 기준 이행 등을 요구하며 저탄소 전환과 동반성장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상장사들은 협력사들의 환경 부문 경영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가운데 거래시 ESG평가를 활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앞서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해 국내 공급망에 속한 중소·중견기업 1278개사의 2022~2023년 ESG 실사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ESG 경영수준을 점수화 했을 때 10점 만점 기준으로 환경(E) 부문이 2.45점으로 가장 낮았고, 사회(S) 5.11점, 지배구조(G) 2.70점을 기록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3월 중소기업중앙회가 낸 상장 대·중견기업 199개사의 자율공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협력사 행동규범을 분석한 '대·중견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분석' 결과를 보면 ESG 평가결과 활용에 있어서, 계약·거래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페널티를 부과하는 기업 비중은 42.2%로 전년(22.3%) 대비 약 두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 관련 정책(녹색구매, 분쟁광물 관리, 공정거래 준수 등)을 구매시스템에 공개하고 구매 시 반영하는 기업은 52.0%에서 78.9%까지 증가했다.
중기 현장에서는 이런 이유로 ESG 대응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지만, 인력난 등 현장 여건을 고려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중소기업에서 ESG 업무를 맡고 있는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지원하는 온실가스 감축 컨설팅 사업을 보면 6개월 단위로 구성된 장기 과정"이라며 "온실가스 인벤토리 지원부터 제3자 검증까지 담겨있지만 중견·중소기업도 기업마다 이행 상황이 다른데 단계마다 효율적이고 선택적인 참여는 어렵게 짜여 있다"고 토로했다.
구체적으로 "규모가 작을수록 인력난에 6개월씩 현장 실사 등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이 없다"며 "기업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고, 정책 홍보도 더 가까워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많은 컨설팅사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태양광을 설치하라는 식이지만, 구체적인 설치비·관리비 등 비용 산정 등과 관련한 실무적 어려움까지 해소해주진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온실가스 감축 외에 사회(S) 부문에서도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안전장구 착용을 강하게 권고해도 작업 때 방해가 되다보니 불편함을 호소해 현장에 잘 적용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며 "정부가 앞장서 저렴하고, 보다 제조업 작업자에 적합한 안전장구 개발 및 보급에 힘써야 실질적인 산재 위험성이 줄어들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