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9월부터 취업확률 예측·채용공고 자동작성 등 서비스 확대
|
30대 여성 오모 씨는 최근 고용노동부의 'AI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통해 제2의 커리어를 시작했다. AI가 이력서와 경력을 분석해 맞춤형 일자리를 추천해주면서 새로운 업무로 다시 일터에 복귀한 것이다.
23일 고용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AI 일자리 매칭을 통해 취업에 성공한 인원은 8만721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늘었다. 이 서비스는 고용24에 등록된 구직자의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을 기반으로 적합한 일자리를 AI가 자동으로 골라준다. 기존처럼 수많은 채용공고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조건에 맞는 일자리를 간편하게 추천받을 수 있어 이용자 만족도도 높은 편이다.
AI 일자리 매칭은 구직자의 이력서나 경력, 입사지원서 등을 분석해 조건에 맞는 일자리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서비스다. 그동안은 수많은 채용 공고를 일일이 살펴야 했지만, 이젠 AI가 '딱 맞는' 일자리를 알아서 찾아주니 훨씬 빠르고 효율적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이 서비스를 통해 취업에 성공한 인원은 8만721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나 증가했다.
단순히 숫자만 늘어난 것이 아니다. AI가 추천한 일자리에 실제 취업한 구직자는 혼자 지원해 취업한 경우보다 정부가 고용보험을 통해 확인한 실제 월급 기준으로 월평균 12만원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영·사무·금융직과 연구·공학기술직 분야에서 AI 추천 일자리의 취업률이 높았다.
중소기업 채용 현장에서도 AI는 든든한 조력자가 되고 있다. IT 보안업체를 운영하는 한 중소기업 대표는 "우리 회사는 인지도가 낮아서 항상 사람 뽑기가 어려웠는데 AI를 통해 딱 맞는 인재를 연결받았다"며 "무엇보다 이 서비스가 무료라는 게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항공화물 운송업체 관계자는 "과거엔 일일이 구직자를 찾아 연락했지만, 이제는 AI가 채용공고에 맞는 인재를 추천해줘서 채용 과정이 훨씬 수월해졌다"고 말했다.
진로를 설계하는 데도 AI가 활용되고 있다. 고용24에서 제공하는 진로상담 서비스 '잡케어'는 구직자의 이력서나 자기소개서를 분석해 진로 로드맵과 적합 직무, 필요한 훈련 과정 등을 안내한다. 이용자 수는 올해 상반기에만 27만건을 넘었고, 그중 90%가 20대 이하 청년층이었다.
대학 졸업 후 여러 번 취업에 실패했던 남모씨는 "잡케어가 추천한 회계 관련 훈련 과정을 수강한 뒤 취업에 성공했다"며 "어느 지역에서 일자리를 구하는 게 유리한지도 알려줘서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퍼스널 컬러 컨설턴트를 꿈꾸던 황모씨는 잡케어를 통해 직무에 필요한 자격증과 임금 수준, 재직자 연령대 등을 확인하고, 보다 현실적인 진로인 네일아트 전문가로 방향을 바꿨다. 그는 "단순한 조언이 아니라 실제 취업에 필요한 역량과 자격 조건을 알려줘 진로 설정에 큰 도움이 됐다"며 "잡케어 덕분에 막연했던 꿈이 구체적인 목표가 됐고 취업까지 이어질 수 있었다"고 전했다.
정부는 오는 9월부터 AI 기반 일자리 서비스 기능을 더 강화할 예정이다. 개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을 추천하는 '지능형 직업심리검사', 구직자의 취업가능성을 예측하는 '취업확률모델', 필요한 훈련과정을 제시하는 'AI 직업훈련 추천', 채용공고 작성을 도와주는 'AI 구인공고 자동작성' 기능이 고용24에 새롭게 추가된다.
조정숙 고용부 고용지원정책관은 "구직자와 기업이 적합한 일자리와 인재를 찾는 데 들이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라며 "앞으로도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쉽고 편리한 고용지원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