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북극항로 개척 ‘속도’…해진공, 금융·정보 지원체계 마련 착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3010013541

글자크기

닫기

세종 이지훈 기자

승인 : 2025. 07. 23. 15:26

수에즈·홍해 리스크 대안 주목
25일 국회 토론회서 정책방향·업계 의견 수렴
[보도사진]해진공, 북극항로 개척 위한 지원 기반 마련 나선다_250723
한국해양진흥공사는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금융·정보 지원체계의 제도적 기반 마련에 착수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최근 신정부의 핵심 해운물류 정책으로 부상한 북극항로 개척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이고 체계적 대응의 일환이다.

해진공에 따르면 최근 수에즈운하 병목 현상과 홍해 해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심화되면서, 글로벌 해상물류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 온난화에 따른 해빙 현상과 맞물려 북극항로가 대체 항로로 주목받고 있으나 실제 상업 운항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경제성, 안정성, 운항 인프라 등 복합적인 요소의 선제적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해진공은 향후 북극항로 상업 운항에 대비한 지원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쇄빙선 확보, 인프라 구축 등 재원 마련 방안을 제안하고, 업계의 상업 운항 조기 실현을 위한 운항·정보 지원방안 등 정책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해진공은 이 같은 내용을 오는 25일 국회에서 개최되는 '북극항로 개척방안 및 선결과제 점검 토론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토론회에서는 홍성원 북극물류연구소 소장을 비롯해 팬오션, HMM, 폴라리스쉬핑 등 주요 해운사가 발제자로 나선다. 발제자들은 북극항로 운송 현황과 지정학적 이해관계, 법률적 과제, 북극항로 운항 사례와 업계의 현실적인 의견, 그리고 정부·정치권 및 금융권의 지원 수요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해진공은 '금융 및 정보 지원방안'을 통해 정책 추진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한다. 이후 종합토론을 통해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지원방안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안병길 해진공 사장은 "북극항로 개척은 단순한 항로 확보를 넘어 우리 해운산업의 전략적 도약 기회"라며 "해진공은 금융·정보·네트워크 등 우리가 가진 역량을 총동원해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이지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