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AI 단과대 설립·병역특례 확대 제시
업계에선 '즉시 투입' 가능한 인력 요구
|
24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교수, 기업 관계자 및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개최, AI 핵심인재 확보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AI 인재 양성의 일환으로 진행된 간담회에는 류제명 과기부 제2차관을 비롯해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 이성환 고려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류 차관은 "AI 인재 확보는 국가 AI 경쟁력의 핵심 과제"라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지속적으로 귀 기울이며, 실질적인 인재 확보·지원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AI 생태계는 산업 현장의 수요에 못 미치는 인력 공급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부설 기관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의 '주요국 AI 인재 양성 및 유치 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AI 기업 2354곳 중 81.9%가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고용노동부는 현재 인력 수급 상황이 유지될 경우, 2027년 AI 분야에서신규 인력 1만2800명이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력 부족을 심화시키는 유출 문제도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1만명당 AI 인재 순유출입 수는 -0.36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5위에 그쳤다. 2022년 전환된 유출 추세가 3년간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정부 역시 심각성을 인지하고 신규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로드맵을 제시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전국 주요 거점대학 내 AI 단과대 설립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 강화 등 해결책을 공약으로 꺼내든 바 있다. 또 당장 산업 현장에 뛰어들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AI 분야 우수 인재 병역특례 확대를 예고했다.
정부가 지금의 인력 부족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당장 투입될 수 있는 인력 양성에 몰두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정보통신(IT)업계 관계자는 "한국 이외에도 미국과 중국, 일본 등 다양한 국가가 핵심 인재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며 "특히 이번 정부에서 첨단 AI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이런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인력 투입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또 "AI가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되는 추세에 따라 산업의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실무 인재 육성에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