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연구 자금 지원 대부분 재개하기로
|
컬럼비아대는 정부와 협상한 끝에 3년에 걸쳐 벌금 2억 달러(약 2740억원)를 납부하기로 했다고 이날 워싱턴포스트(WP), USA투데이 등이 보도했다.
아울러 새로운 정책 이행 상황을 연방 정부에 보고할 독립 감시관을 공동으로 임명하고 미국 평등고용기회위원회(EEOC)가 제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로 벌금 2100만 달러(약 290억원)를 낼 예정이다.
앞서 EEOC는 컬럼비아대가 학생 및 교직원 보호 의무를 지키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특히 캠퍼스 내 시위가 시작된 이후 유대계 커뮤니티에 대한 차별 또는 괴롭힘 신고가 어이졌지만 대학 측이 충분히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클레어 시프먼 컬럼비아대 총장 대행은 이번 합의로 4억 달러(약 5480억원) 규모의 연방 연구 자금 지원이 대부분 재개되고 정부와의 협력 관계를 회복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23일 저녁 성명을 통해 "이 합의가 교수 채용, 입학 그리고 학업 관련 의사 결정에 대한 컬럼비아대의 자율성과 권한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컬럼비아대는 성과 기반 채용 및 입학에 대한 공약 준수 여부를 엄격하게 평가하기 위해 모든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컬럼비아대는 지난해 미국 전역 대학가로 확산된 친(親)팔레스타인 반(反)이스라엘 시위의 진원지로 꼽힌다.
정부는 컬럼비아대를 비롯해 하버드대 등 주요 대학 내 반유대주의를 단속하라고 압박하며 지원금을 끊겠다고 위협해왔다.
린다 맥마흔 교육부 장관은 지난 3월 컬럼비아대 측이 유대인 학생들을 차별로부터 보호하지 않았다는 관계자들의 주장을 근거로 4억 달러 규모의 연방 연구 기금 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사흘 뒤 교육부는 자금 지원 재개의 전제 조건으로 학생 규율 변경, 마스크 착용 금지, 학과 감시권 등의 요구 사항을 담은 서한을 보냈다.
이에 컬럼비아대는 캠퍼스 내 시위 관련 규정을 명확히 정립하고 중동 프로그램을 검토할 수석 부총장을 임명했다.
또 교수진의 지적 다양성을 늘리고 시위 통제를 위한 공공 안전 담당자를 추가로 교육하는 등 여러 개선안을 추진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