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성 부담속 여신전략 재구성
|
이에 은행권의 건전성 관리 부담은 더욱 커졌다. 올해 들어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부실채권인 '고정이하여신'이 증가세를 보이고, '연체율'도 상승하는 등 관련 지표가 나빠지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우량자산 중심의 여신 관리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미래 첨단산업과 벤처기업, 자본시장, 지방·소상공인 등에 대한 투자를 늘렸을 때, 예상되는 건전성 악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수익성보다 안정성에 초점을 맞춘 대출자산을 구성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6월말 고정이하여신의 합은 4조9014억원으로 작년말(3조9486억원) 대비 24.13% 증가했다.
고정이하여신은 부실채권(NPL)으로 분류되는 여신으로 회수 가능성이 낮거나 손실 처리가 필요한 대출을 포함하고 있다. 올해 들어 경기침체가 본격화되면서 손실 우려가 있는 대출이 늘어난 것이다.
각사별로 살펴보면 4대 은행 모두 고정이하여신이 증가했다. 국민은행은 1조4148억원으로 작년말보다 10.02%가, 신한은행은 1조1956억원으로 38.75% 늘어났다. 하나은행은 1조2400억원으로 21.57%가, 우리은행은 1조510억원으로 34.5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도 악화됐다. 국민은행 0.31%로 0.02%포인트가, 신한은행은 0.32%로 0.05%포인트 올랐다. 하나은행은 0.35%로 0.05%포인트가, 우리은행은 0.4%로 0.1%포인트 상승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의 기업투자 확대 요구는 은행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지난 24일 이재명 대통령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금융기관은 손쉬운 주택담보대출 같은 이자놀이, 이자 수익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투자 확대에도 신경 써주길 바란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은행들은 당장 기업투자를 늘려야 하는 상황이 됐다. 하지만 소상공인 등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해야 하는 상황에서 건전성 지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대출을 무작정 늘리기에는 부담이 따른다.
정부 정책과 연관된 포용금융·생산적 금융 시행을 위한 여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여신을 우량 중심으로 구성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보통주자본(CET1) 비율이 중요해지면서 현재 은행들은 위험가중자산(RWA) 관리에 집중하고 있는데, 기업금융도 우량자산 중심으로 비중을 확대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 금융그룹의 상반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은행 최고재무책임자(CFO)와 최고위험관리책임자(CRO) 등은 '우량자산 중심의 성장 추구', '선제적 리스크 관리' 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