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6·27 대책 전후 한 달간 아파트 시장의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의 매매 감소율(-72.5%)이 비수도권의 매매 감소율(-39.9%)보다 약 1.8배 더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매 건수 위축 속에서도 소수의 핵심 자산으로 매수세가 몰리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6·27 대책 이후 수도권에서 20억원 초과 아파트는 매매가 대책 이전 한 달 대비 85.8% 급감하며 가장 큰 폭으로 줄었지만, 신고가 비율은 66.1%로 모든 가격대 중 가장 높았다. 이 가격대의 아파트 3건 가운데 2건이 신고가를 경신한 셈이다.
전용면적 85㎡형 초과 아파트 역시 같은 기간 매매가 79.2% 감소한 반면 신고가 비율은 12.1%로 모든 면적대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대출 의존도가 낮은 자산가들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가장 안전하고 희소성 높은 자산을 선택한 결과라는 게 집토스 분석이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6·27 대책은 수도권 아파트 시장을 침체와 과열이 공존하는 양극화 시장으로 만들었다"며 "대출 규제로 대다수 일반 아파트의 거래가 끊겼지만, 희소성 높은 초고가·신축·재건축 단지로만 수요가 집중되며 오히려 가격 상승 압력이 더 커지는 '그들만의 리그'가 공고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이러한 '똘똘한 한 채'로의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