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캐나다-미국 관세 협상, 마감 시한까지 합의 불발 가능성”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31010018008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7. 31. 09:26

카니 총리 "협상이 8월 1일까지 마무리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어"
캐나다, G7 중 유일하게 미국과 협정 체결하지 못한 국가로 남아
Canada Carney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30일(현지시간) 오타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AP 연합뉴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0일(현지시간)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8월 1일 마감 시한 전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할 수 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캐나다에 적합한 합의를 찾기 위해 고위급 인사들이 워싱턴에 파견돼 있다"며 "(협상이) 8월 1일까지 마무리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 1일을 관세 협상의 '데드라인(마감 시한)'이라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현재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인도에 대해선 내달 1일부터 25%의 관세에 더해 추가 페널티까지 물리겠다고 했다.

카니 총리는 지난 28일 "합의 가능성이 있는 '착륙 지대'가 있다"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지만, 상황은 진전되지 않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캐나다 측과의 협상에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캐나다는 주요 7개국(G7) 중 유일하게 미국과 관세 협정을 체결하지 못한 국가로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일본 및 유럽연합(EU)과 각각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에 따라 미국은 일본과 EU에서 수입되는 대부분의 상품에 15% 관세를 부과하고 철강과 알루미늄에는 기존의 50% 관세를 유지한다.

또한 자동차 관세는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일본과 EU가 미국 내 수천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지만, 구체적인 세부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한편 캐나다 중앙은행(BOC)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현재와 같은 관세 환경이 지속될 경우 캐나다 경제가 2026년부터 2027년 초까지 부진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