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세 후폭풍 확산…청원 12만명
"정책 조정 주시…내수·저평가 대응"
|
이날 코스피는 약보합으로 출발했으나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 유입으로 전 거래일 대비 36.23포인트(1.16%) 오른 3155.64에 마감했다. 개인이 2996억원을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30억원, 1316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이날 등락률 상위 10개 종목은 정책 수혜와 경기 방어 성격의 업종이 주를 이뤘다. 농업 지원 확대 기대와 호실적이 겹친 TYM(17.83%)이 급등했고, HJ중공업(16.97%), HD현대건설기계(8.97%), HD현대인프라코어(8.96%) 등은 정부의 SOC 확대와 해외 재건 프로젝트 수주 기대 등 인프라 투자 모멘텀이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
재생에너지 전환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SK오션플랜트(14.47%)는 국내 해상풍력 단지 조성 계획과 글로벌 에너지 전환 투자 확대에 힘입어 상승했다. 방산과 철강 분야에서는 SNT에너지(7.95%)와 화인베스틸(9.56%)이 각각 국방예산 증액과 조선·건설 수요 회복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다.
장 초반 증시는 세제개편 여파와 미국 고용지표 부진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로 약세를 보였다. 지난 1일 코스피는 세제개편 발표 직후 3.88% 급락하며 3120선을 내주는 등 '검은 금요일'로 불릴 만큼 큰 폭의 조정을 받았다. 대주주 양도세 기준 강화와 배당소득 분리과세 요건 강화 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영향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이날 반등을 과도한 하락에 따른 단기 저가 매수에 따른 기술적 흐름으로 평가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3%대 급락이 과도했던 만큼 이날 저가 매수가 유입됐지만, 대주주 양도세를 둘러싼 여당 내 공방이 이어지며 세제 불확실성이 변동성을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도 세제개편 후폭풍이 거세다. 대주주 양도세 기준 강화에 반대하는 국민동의청원은 이날 기준 참여자가 나흘 만에 12만명을 넘어섰고, 일부 여당 인사들도 조항 재검토 가능성을 언급하며 당내 이견을 표출했다. 과세 기준을 기존 '종목당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낮추는 방안이 연말 매도세를 자극해 시장 불안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다만 시장은 국회 논의 과정에서 조정 가능성이 열려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김종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개편안이 그대로 통과되면 연말 수급 불안이 커질 수 있지만, 국회 논의에서 조정 가능성이 아직 열려 있다"고 말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도 "세제개편안은 아직 정부 발표 단계로, 국회에서 수정될 여지가 있다"며 "단기 반전보다는 재조정 가능성에 무게를 둘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방향성이 명확히 확인되기 전까지는 정책 효과가 가시화된 업종 중심의 대응이 필요하다고도 조언했다. 황산해 LS증권 연구원은 "향후 증시는 물가 지표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기조 전환 여부가 방향성을 결정할 것"이라며 "내수 부양 정책과 연계된 음식료·레저·화장품, 네이버·카카오(광고·커머스)와 조선·자동차·반도체 등 저평가 업종 중심의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