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韓 달 착륙지는 어디?…다누리, 우주 데이터 확보 ‘박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5010002104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8. 05. 14:15

국내 달 착륙선 착륙 후보 지역 영상 확보
관측 자료 기반 학술 논문 30편 이상 게재
다누리 성과 발표 현장사진
다누리 발사 3주년 기념해 5일 우주항공청에서 열린 다누리 달 탐사 관측 성과 발표 행사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우주항공청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2032년 발사될 국내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 지역를 관측하는 등 달 관력 연구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우주항공청은 다누리 발사 3주년을 맞이해 그간의 관측 성과를 5일 발표했다. 이날 행사는 다누리 및 과학 탑재체를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희대학교 연구자가 참여해 다누리 운영을 통한 관측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2022년 8월 5일 발사돼 올해 3주년을 맞이한 다누리는 성공적인 초기 임무 수행에 이어 두 차례의 임무 연장을 통해, 2027년까지 더욱 활발한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올해 2월 19일에는 고도를 60㎞까지 낮춰 달 표면에 더욱 근접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 달 24일에는 별도 연료 소비 없이 장기간 궤도 유지가 가능한 '동결궤도'로의 전이를 통해 관측 임무를 지속할 예정이다.

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는 2032년에 발사될 우리나라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 지역인 라이너감마 지역 등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고 있다. 향후 착륙지 선정 시 관측 자료가 활용될 예정이다.

감마선 분광기(KGRS)는 달 표면 전체에 대한 자연방사성원소 지도와 중성자 지도, 그리고 극지방의 물 추정 지도를 작성했다. 이후 달 표면 주요 구성성분인 산소, 철, 알루미늄, 칼슘 등 주요 원소 지도들을 제작 중에 있다.

자기장측정기(KMAG)는 달 표면 자기장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이지역인 라이너감마 지역 등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정밀 자기장 지도를 완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장 관측자료를 활용해 우주환경과 다이나모 형성과 진화, 달 내부구조 연구를 수행 중이다.

다누리 관측 자료는 항우연 과학데이터 관리 및 공개시스템인 KPDS를 통해 공개하고 있으며, 국내외 달 관련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다누리의 임무 연장을 통한 3년간의 관측 자료는 달 지형 및 환경, 자원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총 3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게재되는 등 다누리 데이터를 활용한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주도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강경인 우주청 우주탐사부문장은 "다누리를 통해 확보한 관측 데이터를 활용해 달 착륙선의 착륙지 선정, 달 환경에 대한 이해, 그리고 국제 공동 연구 기반 마련 등 국내 연구자들의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누리의 임무 연장을 통해 확보한 과학적 성과를 활용해 우주탐사 영역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