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정책 변화 등 대외 불확실성 대응 必"
|
6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3.2% 증가한 137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특히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바이오의약품, 기초화장품 수출이 크게 증가, 의약품과 화장품 분야에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화장품 수출액은 1년 사이 14.9% 늘어난 55억1000만달러였으며 의약품은 20.5% 증가한 53억8000만달러였다. 의료기기는 0.6% 많은 29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의약품 분야에서는 바이오의약품의 선전이 주효했다. 전체 의약품 수출의 63.4%를 차지한 바이오의약품의 수출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27.4% 증가한 34억1000만달러로 반기 최대치를 경신했다. 특히 미국시장에서 41.4%의 증가폭을 기록한 한편, 독일에서도 66.7%나 늘어났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기초화장용·색조화장용·인체세정용 제품류의 수출이 증가했다. 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74.6%를 차지한 기초화장용 제품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41억1000만달러로 반기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색조화장용 제품류 수출액도 1년 사이 17.3% 증가한 7억5000만달러로, 반기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이병관 진흥원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5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화장품과 의약품 분야에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산업 전반의 성장을 견인했다"며 "하반기에도 바이오의약품과 기초화장품 등 주력 품목의 글로벌 수요 확대에 힘입어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만큼,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신중하고 전략적인 대응에 나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