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에너지 소비 절반 차지하는 열에너지…“법적 지위 보장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6010003037

글자크기

닫기

장예림 기자

승인 : 2025. 08. 06. 17:21

6일 '집단에너지 미래발전전략 세미나' 개최
미활용열 개념화 전무…사업 확장성 난항
열 공급→분산형 에너지 사업자로 재정립 필요성
clip20250806162936
6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집단에너지 미래발전전략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영삼 한국지역난방공사 부장, 박지용 에너지경제연구원 실장, 임용훈 숙명여대 교수, 조홍종 단국대 교수, 전영재 한국에너지공단 실장, 이창준 서울에너지공사 본부장./장예림 기자
국내 최종 에너지 소비 비중의 절반을 차지하는 열 에너지 중 버려지는 폐열 등 미활용열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무탄소 전원으로의 법적 지위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를 통해 사업 확장성이 커질 수있다는 의견이다.

6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집단에너지 미래발전전략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열에너지의 역할이 강화되는 만큼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제도적인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조영삼 한국지역난방공사 부장은 "미활용열도 무탄소로서의 법적 지위를 확보해야 한다. 재생에너지는 법적 제도가 명확하게 마련돼 있는 반면, 미활용열은 미비하다"며 "물론 어떤 부분까지 타당한지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법적 지위가 보장이 돼야 저탄소·순환경제 체제로의 전환(GX, Green Transfomation)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 객관적으로 입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탄소중립을 실현해 나가는 과정에서 열 에너지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국내 최종에너지 소비 중 열에너지가 4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미활용 열의 잠재량 역시 연간 1억Gcal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집단에너지 열생산량 1억2000만Gcal과 맞먹는 수준이다. 그러나 아직 제도적 개념화도 이뤄지지 않아 탈탄소화 전략에 속도를 낼 수 없다는 지적이다. 미활용열원은 산업이나 쓰레기 소각, 하수도, 데이터센터에서 나오는 열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특히 사업 확장을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중요한데, 이 과정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영재 한국에너지공단 실장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전체 과정을 100이라고 본다면, 수집까지만 70의 힘이 들어간다"며 "에너지 쪽은 물리적·소프트웨어 방화벽 등 여러 보완장치를 걸쳐서 들어가면 2시간 간격의 시간차가 생긴다. 결측이 발생하기에 이를 계속 정제하게 되는데 28번까지도 간다. 앞단에서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에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어렵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집단에너지 사업자들의 정체성을 재확립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임용훈 숙명여대 교수는 "집단에너지 사업자들이 커밍아웃해야 할 시기"라며 "열 공급 사업자라기 보다는 분산형 에너지 사업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표방하고 진행해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장예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