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밀착 업종 매출 일제히 증가…학원·의류·레저도 두 자릿수 상승률
![]() |
8월 3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 / 그래픽 = 박종규 |
행정안전부는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신용·체크카드(9개 카드사)로 사용된 소비쿠폰의 업종별 사용액 및 매출액을 분석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소비쿠폰 수령자의 약 70%가 신용·체크카드를 선택한 만큼, 전체 사용 추이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 기준이 된다.
지난 3일 자정 기준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소비쿠폰 5조7679억원 중 2조6518억원(46.0%)이 사용됐다.
업종별 사용액을 보면 대중음식점이 1조989억원으로 전체의 41.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마트·식료품(4077억원·15.4%), 편의점(2579억원·9.7%), 병원·약국(2148억원·8.1%), 의류·잡화(1060억원·4.0%), 학원(1006억원·3.8%), 여가·레저(760억원·2.9%) 등의 순이었다.
소비쿠폰이 본격적으로 풀린 시점부터 가맹점 매출 증가도 뚜렷했다. 소비쿠폰 지급 첫 주인 7월 4주차(21~27일) 가맹점 전체 매출액은 전주 대비 19.5%,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했다. 다음 주인 7월 5주차(28일~8월 3일)에는 각각 8.4%, 6.5% 늘었다.
같은 기간 업종별 매출 증가율을 보면 첫 주에는 학원(33.3%), 의류·잡화(19.7%), 편의점·주유(각각 13.1%)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둘째 주에는 의류·잡화(22.9%)와 학원(22.8%), 여가·레저(19.9%), 음식점(16.8%), 마트·식료품(16.5%) 등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소비쿠폰으로 소상공인 매출과 국민 소비심리가 모두 개선되고 있다"며 "추가 소비 진작 대책도 지속적으로 마련해 민생경제 회복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