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농업·청년농 육성 협력
|
11일 인천 영종도 파라다이스시티 호텔에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성 대신, 한 쥔 중국 농업농촌부 부장(장관)이 '제4차 한일중 농업장관회의'를 개최한 것이다.
이번 회의는 2018년 이후 7년 만에 한일중 3국 간 농업 협의가 본격 재개됐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
송 장관, 고이즈미 농림수산성 대신, 한 쥔 부장은 모두발언에서 7년 만에 열린 '제4차 한일중 농업장관회의'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 송 장관은 "7년 만에 다시 열린 한일중 농업장관회의는 동북아3국의 농업 협력 분야의 공동과제 해법을 모색하는 중요한 계기이자 출발점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세계는 기후위기, 식량 공급망 불안, 초국경동물질병 확산 등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일중 3국이 머리를 맞대고 실질적 해법과 방안을 모색하는 4차 회의는 시의적절하다"면서 "한일중 3국이 농업 분야 협력을 이끌고, 식량안보와 농업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고이즈미 농림수산성 대신은 "한일중 3국이 농업 분야의 공통 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은 매우 성공적이고, 앞으로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을 기속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 쥔 부장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좋은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인 3국이 7년 만에 회의를 개최한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면서 "3국이 농업 분야에서 높은 단계의 협력을 구축하고, 농업 진흥과 발전을 위해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미령 장관, 고이즈미 농림수산성 대신, 한 쥔 부장 한일중 농업장관은 약 1시간여 비공개 회의를 통해 식량안보, 동물질병 대응, 지속 가능한 농업, 농촌지역 활성화,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협력, 글로벌 협력 등 6개 핵심 의제 합의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서명했다.
특히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 탄소중립형 농업 전환, 청년농업인 육성 및 교류사업 확대, 수석수의관 협의체 정례화, 세계중요농업유산 기반의 국가 간 경험 공유, 기후스마트 농업기술 공동 개발 및 정책세미나 개최 등 구체적 실행 과제 추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와 관련 송 장관은 "이번 회의는 한일중 3국의 새로운 협력의 출발점이 됐다"고 했고, 고이즈미 농림수산성 대신은 "공동선언문의 6개 의제(주제)는 매우 중요한 포인트이다"라고 말했다.
한 쥔 부장은 "이웃이자 생사고락을 함께한 운명의 동반자인 3국이 7년 만의 회의를 개최한 것은 농업 분야 협력의 전면적 재개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한편 송 장관, 고이즈미 농림수산성 대신, 한 쥔 부장은 오찬에서 한일중 식문화를 조화롭게 담은 K-Food 시식과 3국 전통악기 협연을 통해 상호 공감대를 넓혔다.